추가 신도시 지양…기존 부지 활용 계획
정비사업 규제 완화는 공공 이익 따져야
토허제 지정 등 추가 규제는 협의 필요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15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개혁을 능동적이고 공격적으로 임해달라는 대통령의 주문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이날 정부과천청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 첫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께서 특별히 (부동산) 정책 관련 요구한 것은 없지만 적극적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셨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LH 사례를 대표적으로 거론하며 직원들 문제를 떠나서 구조적이고 판을 바꿀 수 있는 개혁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명 소감문에 가장 먼저 언급했던 선호 입지에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해서는 기존 신도시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후보자는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기 보다 3기 신도시 짓는 과정에 대해 살펴봐야 겠지만 신도시를 추가로 만들기 보다 활용 가능한 부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노력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는 앞서 이 대통령이 지난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기존 계획돼 있던 신도시를 그대로 하되 속도를 빨리할 생각”이라고 말한 것과 같은 흐름이다.
주택공급을 위해 재개발 재건축절차 및 용적률 완화, 재초환 폐지 등에 대해서는 “공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민간의 이익과 공공의 이익을 균형있게 해야 할 필요가 있고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가되 공공의 이익을 잘 살펴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6.27 대출규제 이후 토지허가거래구역 재지정 등 추가 수요 억제에 대해서는 금융당국과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김 후보자는 일각에서 제기된 전문성 우려에 대해서는 “국토교통위원회를 4년을 했지만 제가 전문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면서도 “다만 왜 저를 국토부 장관으로 지명하셨을까 생각한다면 다양한 지혜를 모으는게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탁상위에서 부동산 정책을 내놓기보다 국민 눈높이에서 현장을 다니면서 반영했으면 좋겠다는 것으로 다양한 학계 등 전문가 뿐만 아니라 국회의원이기 때문에 여야 의원들의 의사를 반영해서 추진력을 발휘해 달라는 주문으로 이해했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