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코로나19 강력 봉쇄조치 시 취업자 1/3 경제활동 어려워"


입력 2020.08.18 12:00 수정 2020.08.18 12:36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단기적 실직위험 큰 비필수·비재택근무 비중 35%"

"감염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는 46%"

동대문시장 통일상가에서 의류도매업을 하는 부부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가운데 14일 오전 서울 중구 동대문시장 통일상가 앞 공원에 마련된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상인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동대문시장 통일상가에서 의류도매업을 하는 부부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가운데 14일 오전 서울 중구 동대문시장 통일상가 앞 공원에 마련된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상인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강력한 봉쇄조치를 시행하면 취업자 3명 중 1명은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18일 한국은행 조사국 오삼일 과장과 이상아 조사역은 BOK이슈노트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취업자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선 산업별·직업별 특성에 따라 코로나19에 취약한 일자리를 식별한 결과, 비필수와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 대비 각각 42%와 74%, 55%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특히 정부의 봉쇄조치 시 작업환경의 제약으로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일자리로서, 단기적으로 실직위험에 크게 노출되는 비필수·비재택근무 비중은 35% 수준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강력한 봉쇄조치가 시행될 경우 취업자 3명중 1명은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울 것이한 판단이다.


아울러 보고서는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 비중은 전체 취업자의 46%로, 해당 일자리는 고용회복에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은 저소득, 저학력, 청년층, 여성, 임시일용‧자영업자, 고용보험 미가입자 등 취약 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졸 이하 저학력자가 비필수직,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에 종사할 가능성은 대졸이상 고학력자에 비해 7~24%포인트나 높게 추정됐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개별 경제활동인구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재조정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올해 3월부터 6월 중 취업자수 감소의 대부분은 취약 일자리에서 발생했다. 3~6월 중 취업자수 감소에 대한 비필수,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의 기여율은 각각 106%, 77%, 107% 정도였는데, 이는 관련 일자리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각각 42·74·55%)을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보고서는 "비필수 일자리의 높은 기여율은 국내에서 봉쇄조치가 시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조치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음을 시사한다"며 "향후 고용회복 과정에서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의 고용부진이 이어지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재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