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文정부가 밀어주는 중기특화증권사...IPO실적 박탈감만 커졌다


입력 2020.07.10 05:00 수정 2020.07.10 00:20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2016년 제도 도입 이후 IPO 주관 건수 매년 19→7→16→15건 등 하락

뚜렷한 인센티브·실익 없어 올 상반기에는 7건 그쳐…"추가 지원 필요"

중소기업특화증권사들의 기업공개(IPO) 실적이 매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당국이 현실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의도 증권가 전경 ⓒ연합뉴스 중소기업특화증권사들의 기업공개(IPO) 실적이 매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당국이 현실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의도 증권가 전경 ⓒ연합뉴스

중소기업특화 금융투자회사 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논란에 직면했다. 중소·벤처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 위해 도입됐지만 현실성이 떨어지는 당국 지원 정책에 IPO·크라우드 펀딩 등 주요 사업 실적이 매년 하락하면서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3기 중기특화증권사로 출범한 6개 증권사(키움·IBK투자·SK·유진투자·이베스트투자·코리아에셋투자)의 올 7월 9일까지 기업공개(IPO) 주관 건수는 7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2기였던 6개사 주관 건수인 9건보다 2건 줄어든 규모다. IPO기준은 신규·이전·재상장과 스팩합병을 합쳐 산출했다. 결과는 청구서 접수 이후 철회·미승인을 제외했다.


중기특화증권사는 금융위원회가 지난 2016년 도입한 제도다. 중소·벤처기업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길을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중소기업의 IPO나 인수·합병(M&A),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중소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고 모험자본을 활성화시키자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활성화 정책과도 일맥상통한 부분이 있어서 1기 선정 당시에는 16개 증권사가 신청해 각축을 벌이기도 했다. 중기특화증권사는 금융위가 2년을 주기로 정량·정성 평가를 거쳐 선정한다.


하지만 도입 이후 자금조달에 대한 실질적인 지표로 볼 수 있는 IPO건수는 오히려 계속 줄어들고 있다. 1기 중기특화 증권사로 지정된 6개사(유안타·유진·코리아에셋·키움·IBK·KTB투자증권)은 2016년 22건, 2017년 16건의 IPO를 주관했다. 스팩상장, 이전상장, 공동주관 등을 제외한 순수 신규상장으로만 놓고 보면 2016년에는 19건, 2017년에는 7건에 불과하다.


KTB투자증권이 빠지고 SK증권이 대신 들어온 2기는 지난 2018년 출범했다. 2기 중기특화증권사는 2018년 16건, 지난해에는 19건의 IPO주관 실적을 기록했다. 역시 신규상장만 놓고 보면 지난해 주관 건수는 15건으로 줄어든다. 지난 2년 동안 중기특화증권사의 IPO주관 건수는 한국투자증권이 홀로 주관한 IPO건수인 35건보다 4건이나 적다.


또 중기특화증권사에게 주어진 크라우드 펀딩운용 건수도 2017년 64건, 2018년 37건, 2019년 11건 등으로 지속 줄어드는 추세다. 크라우드 펀딩은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 대중에게서 자금을 모으는 방식을 의미한다.


ⓒ데일리안 ⓒ데일리안

중기특화라는 사명을 부여했음에도 실적이 좋지 않은 이유는 당국에서 제시한 지원책들이 전부 현실성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중기특화증권사에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발행 주관사 선정 우대 ▲한국증권금융을 통한 증권담보 및 신용대출규모 확대 ▲유동성공급자(LP)지분 중개지원 ▲중기특화증권사 전용 정책펀드 설정 등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증권사들은 이 같은 지원책들이 IPO와 연계될 수 있는 부분이 부족하다고 토로하고 있다. 특히 증권사들이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서 단기간에 실적을 내는 것도 어려운 실정이어서 IPO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중기특화증권사 관계자는 "지원책 자체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제공되는 것들이 IPO와 큰 연관이 없는 것도 사실"이라며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리스크가 커 관련한 사업 유치를 꺼리는 만큼 이를 축소시키거나하는 지원책으로 부실 우려를 줄여줄 방안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금융위는 지난 번 2기 중기특화증권사 지정과 함께 다른 인센티브를 추가했다.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대출 부담 완화를 위해 순자본비율(NCR)을 산정할 때 대출채권전액을 영업용순자본에서 차감하지 않고 차주 신용도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해 총위험액에 가산하는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실질적인 실적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또 다른 중기특화증권사 관계자는 "각 회사별로 주력하고 있는 사업부문이 다르기 때문에 애초 중소기업 관련 사업 부문이 작은 증권사 입장에서는 기업부문 리스크가 줄어도 건전성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며 "뚜렷한 개선책이 없다면 향후 추가적인 흥행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