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靑 "한일중"이라는데..."한중일"이라 말한 文대통령


입력 2019.12.25 03:00 수정 2019.12.25 07:01        데일리안 청두(중국) = 이충재 기자

공식적으로 '한중일' 사용하지만 개최순번 따라 '한일중'

문대통열 '日정상' 아베 보다 '2인자' 리커창 먼저 거명

'우호적 국가 우선 배치'가 관례…北 끼어들면 복잡해져

공식적으로 '한중일' 사용하지만 개최순번 따라 '한일중'
'우호적 국가 우선 배치'가 관례…北 끼어들면 복잡해져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를 어떻게 부르느냐를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청와대와 문재인 대통령이 부르는 명칭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자료사진)ⓒ데일리안, 청와대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를 어떻게 부르느냐를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청와대와 문재인 대통령이 부르는 명칭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자료사진)ⓒ데일리안, 청와대

24일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를 어떻게 부르느냐를 두고 현지에서도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청와대와 문재인 대통령이 부르는 명칭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통상 한국과 중국, 일본이 함께 하는 3국 행사는 '한중일'이라고 부르지만, 3국간 최고위급 협의체인 정상회의는 외교적으로 의장국 순서에 따라 이름이 달라진다.

우선 청와대는 이번 정상회의의 공식 명칭을 '제8차 한일중 정상회의'라고 밝혔다. 3국 정상회의는 2010년부터 회의 개최 순번에 따라 한국과 일본, 중국의 순서로 공식 표현한다는 설명이다.

3국 정상회의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년 12월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이후 '중국→한국→일본' 순으로 주최했다. 이에 따라 이번 정상회의는 '한일중'으로 부르기로 했다는 것이다.

'日정상' 아베 보다 '2인자' 리커창 먼저 거명

하지만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의 모든 공식 발언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라고 지칭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의 후 공동언론발표에서도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훌륭하게 준비하고 환대해 주신 리커창 총리님과 중국 국민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공식행사인 '한중일 비즈니스 포럼' 기조연설은 물론 정상회의 모두발언에서도 "한중일"이라고 했고, "존경하는 리커창 총리님, 아베 총리님"이라며 리 총리를 먼저 거명했다.

리 총리가 국제무대에서 정상급 대우를 받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에 이어 '2인자'로 엄밀히 말하면 '정상(頂上)'이 아니다. 중국이 개최국이라지만,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입장에선 문 대통령의 호명 순서가 굴욕적일 수 있다.

알쏭달쏭 국가 순서…우호적 국가 우선

통상 국가 간 배열의 선후 위치는 상호 관계를 그대로 반영한다. 우리나라와 우호적인 국가를 앞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미국과 중국, 일본을 말할 때는 '미중일'이라고 한다. 여기에 러시아가 더해지면 '미중일러'가 된다. '혈맹'인 미국을 최우선에 두는 것이 관행이다.

한중일 역시 이번 정상회의는 국제행사 '룰'에 따른 순서일 뿐, 정부는 공식 외교문서 등에서 '한중일'이라고 표현한다.

북미, 북일, 북중…北끼어들면 최우선 순위

다만 국가별 순서에 북한이 끼어들면 복잡해진다. 우리와 북한은 헌법상 국가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관계'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공식적으로 '북미'라는 표현을 쓴다. 청와대는 지난해 6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공식 명칭을 '북미정상회담'이라고 했다.

정부는 북한 정권의 정당성 여부를 떠나 한민족이라는 뿌리와 통일의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북한을 가장 앞에 쓰고 있다. '북미'라고 지칭하는 것은 물론 '북일', '북중', '북러' 등으로 쓴다.

북미‧미북 혼용하는 文…심지어 '朝美'라고도

문 대통령은 취임 후 공식석상에서 '북미'와 '미북'을 혼용했다. 한 연설문에서 북미와 미북을 동시에 쓰기도 했다. 지난해 9월 25일 미국 외교협회 합동연설에선 "북미 정상이 다시 마주 앉으면 비핵화의 큰 진전이 있을 것이다", "중단됐던 미북 간 비핵화 논의도 본격화될 것이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공식 브리핑이나 문서에서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문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선 김정은 위원장에게 "조미(朝美)정상회담이 성공하길 기원하겠다"고 하는 등 '조미회담'이라는 표현을 두 번 사용했다.

지난해 10월 청와대에서 마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접견에선 "2차 '미북 정상회담'이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프로세스에서 되돌아갈 수 없는 결정적인 진전을 만들어내길 기대한다"고 했다.

마주 앉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말을 하는 것이 '문 대통령의 언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