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종로구 서울 교육청 앞에서 '교육과 학교를 위한 학부모 연합' 회원들이 최근 서울의 한 공립학교에서 벌어진 성폭행 사건과 관련해 가해교사의 엄중 처벌을 촉구하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한 고등학교에서 벌어진 성 관련 비위 사건으로 성범죄 교사들의 연금을 삭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미숙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대표는 11일 라디오 프로그램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성추행 행위는 (연금을) 100% 다 받는 것이 이해되지 않고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공무원연금법 시행령을 보면 파면 교사는 연금 50%를 삭감하고, 해임 교사는 연금 100%를 다 받게 돼 있다”며 “다만 금품 및 향응 수수로 인한 해임은 25% 연금을 삭감하는데, 촌지보다도 훨씬 나쁜 것이 성추행 행위”라며 성범죄 교사의 연금 삭감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제대로 된 징계가 되지 않아 교사의 성범죄가 날이 갈수록 늘어갈 수밖에 없다”며 “더구나 성범죄 재범률은 60% 이상이라 제2, 제3의 성범죄가 될 수 있어 다른 범죄보다 더 강화된 엄격한 처벌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출연한 김동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성범죄 교사의 연금 삭감에 대한 일각의 주장에 대해 “일정 부분 상당히 동의를 한다”면서도 “다만 교육공무원법이나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부분이 개정돼야 할 부분이고, 여타 공무원과의 형평성 부분을 강화하는 쪽으로 논의가 된다면 교육계에서도 수용하거나 인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성범죄 부분의 사실이 확인되면 피해자의 보호라든지 또 묵묵히 교단을 지키고 있는 다수 교원의 명예를 위해서라도 그에 따른 상응하는 법률적·행정적·도덕적 책임을 지우는 것은 절대 다수의 교원이 동의한다”며 “잘못된 언행을 한 교원에 대한 징계 처분을 강화해서 개선하는 노력 부분에 저희(교원)들도 동의하고 적극 동참할 의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대변인은 이번 사건과 관련한 정부의 대책과 관련, “처벌을 통한 문제 해결 위주의 대책”이라며 “처벌 위주의 대책만으로는 교직사회의 잘못된 관행이나 일부 교원의 잘못된 언행을 근본적으로 뿌리 뽑을 수 없다. 교직 사회의 의식 전환과 잘못된 문화를 혁신하는 부분이 같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총을 포함한 교원단체는 이날 오후 2시 프레스센터에서 이번 사태에 대한 대국민 사과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이날 △교육 윤리위원장의 재개정 △성범죄 근절 5대 수칙 등의 내용을 담은 ‘성범죄 근절 실천 방안’을 발표해 학교 현장에 널리 공유할 예정이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