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빌딩 정보 모델링) 기반의 사전 시공 과정을 적용한 LH 진주 신사옥 신축현장ⓒ현대건설
현대건설은 첨단 건축설계기술 '빌딩 정보 모델링(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반한 '사전 설계·시공 최적화'(Pre-construction Process)를 전면 도입한다고 13일 밝혔다.
BIM은 2차원의 평면 설계를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현한 기술이다. 가상 공사환경에서 '사전 시공'을 진행하면서 도면상 오류나 설계상 간섭, 누락을 미리 해결할 수 있어 고난이도 공사에 최적화된 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사전시공' 기법은 실제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이나 재시공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예기치 않은 원가 상승이나 공사기간 지연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현대건설은 이같은 ‘사전 시공’ 과정을 최고난도 비정형 건축물로 평가받는 카타르 국립박물관 현장을 비롯해 현대자동차 복합전시관 현장, LH 진주 신사옥 현장 등에 '사전 시공' 과정을 적용한 바 있다.
현대건설은 또 첨단 건설관리 기법을 도입하는 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012년 골조공사 4D 시뮬레이터를 개발해 3차원 공사계획 자동화를 진행했고, 지난해 건물 곡면분석 및 최적대상 생성 도구를 개발해 비정형 건축물 설계·시공 기술을 확보했다. 미국 BIM 전문업체인 게리 테크놀로지스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올 해엔 3차원 기반으로 건설 진행현황과 비용 등을 동시에 검토할 수 있는 5D 시스템을 일부 현장에 시범 적용 중이다. 향후에는 공기를 단축하기 위한 사전 복합공종 조립식 건물 제작 기술, 공사정보 자동축적 기술 등을 개발할 방침이다.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관계자는 "BIM에 기반한 사전 시공을 전면 도입함으로써 고난이도 공사를 수행할 때 리스크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제 일부 공정에선 5% 이상의 원가절감 효과와 공사기간 단축 효과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