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 이른 시기 중국 방문…시진핑 초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환상적인 무역합의를 체결할 것이라면서도 협정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155%까지 인상될 수 있다고 재차 경고했다.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예정돼 있는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강온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 일간 유에스에이투데이(USATODAY)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회담에 앞서 취재진 질문에 ”우리와 거래하지 않으면 중국은 큰 곤경에 처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은 55% 관세를 내고 있으며, 우리가 합의하지 못할 경우엔 11월 1일부터 잠정적으로 155%가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몇 주 후 한국에서 만날 예정이며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할 예정“이라며 미국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관세나 비행기 부품 같은 ‘지렛대’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 항공기 업체인 보잉을 언급하며 ”그들은 비행기 부품을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부품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며 ”실제로 중단했고 그들이 첫 번째 (희토류) 위협을 했을 때 400대 이상의 비행기 운항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중국과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지만 그들은 다른 모든 국가들처럼 이득을 취하려 한다“며 ”유럽연합(EU)도 (미국에서)이득을 취했지만, 더 이상은 아니다“며 ”우리는 일본과도 매우 공정한 무역합의를 이뤘고, 제가 시 주석과 만나는 장소인 한국도 공정한 합의를 맺었다“고 언급했다. 또 ”우리는 아마 중국의 시 주석과도 매우 공정한 합의를 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매우 흥미로운일이 될 것이며, 양국 모두에 유익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중국에 잘해주려하고, 시 주석과는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며 “우리는 한국에 함께 갈 것이며, 그 곳은 우리가 만나기에 아주 좋은 장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회담을 끝냈을 때는 ‘큰 합의’(a big deal)가 이뤄질 것이다. 우리가 한국에서의 회담을 마쳤을 때 중국과 저는 매우 공정하고 훌륭한 무역합의를 체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내년 초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초청을 받았다”며 “2026년 상당히 이른 시기에 방중할 계획이다. 거의 굳어졌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2027년 대만 침공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인도·태평양에서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안보협의체)가 중국을 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나’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하지만 나는 우리가 그것(오커스를 통한 중국 억제)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엇보다도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나라고, 누구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며 ”누구도 그것에 맞서려 들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앨버리지 총리와의 회담에서 호주와 핵심 광물 관련 협정문에 서명했다. 중국의 통제 조치에 맞서 광물 확보 경로를 다변화하기 위한 노력이다. 앨버니지 총리는 “향후 호주와 미국이 10억 달러(약 1조 4000억원)씩 기여해 즉시 실행 가능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85억 달러짜리 파이프라인 사업과 함께 미국과 호주, 일본 간 협력 사업도 추진한다. 그는 이번 협상이 “4~5개월 동안 이어졌다”며 “1년 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많은 핵심 광물과 희토류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