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세월호 국조 청문회 일정과 특별법 협상 모두 이견차 좁히지 못해
여야가 7.30 재보궐 선거 이후에도 세월호 국조 청문회 일정과 특별법 협상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여전히 세월호 특별법 제정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선거전까지만 해도 ‘세월호 사건 조사 및 보상에 관한 조속 입법 TF(태스크포스)’와 국정조사 특위의 여야 간사가 매일 심야까지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았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서는 형식적인 접촉만 이뤄지는 양상이다.
특히, 양측은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며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연)은 야당 또는 특별법 제정으로 구성되는 진상조사위에 추천권을 줘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새누리당은 특별검사후보추천위원회가 추천하도록 한 법을 어겨가면서 야당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1일 일각에서 7.30 재보궐 선거 이후 세월호 특별법과 관련 새누리당의 기조가 바뀌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특별히 달라질 계기는 없고 지금까지 해오던 기조 아래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기조나 기존에 타결된 내용을 후퇴하거나 다른 방식을 제안할 상황도 아니고 그럴 입장도 아니다”며 “세월호 특별법과 피해자 및 유가족 지원문제는 우리당이 앞으로 지속적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세월호 특별법에 대해서는 95% 이상이 여야 간 협의가 끝났다”며 “진상조사특별위원회에서는 위원 선정을 어느 정도로 하느냐 그 구성에서 아직까지 협의가 진행되지 못한 게 있고, 특별검사추천을 어떻게 하느냐 쟁점이 남아 있다”고 덧붙이는 등 여당 측의 입장 변화가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새누리당 일부 의원들은 이날 오전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도 세월호 특별법 협상 과정과 관련, 야당 측에 결코 밀려선 안 된다는 주장도 제기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이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이노근 새누리당 의원은 “세월호법 협상에서 왜 우리가 이렇게까지 밀리느냐”며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해야하는 것은 맞지만 야당이 이렇게까지 무리하게 나오는 것은 옳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또 “이번 재보선에서 국민이 그렇게 가라고 표를 몰아준 것”이라며 “세월호 협상에서 야당의 무리한 주장에 끌려가서는 안 된다”며 강강한 입장을 내세운 것으롤 전해진다.
국회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여야 간사인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과 김현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자료사진)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