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째 이어온 사회공헌 사업…장애인 자립에 기여
1인 가구 장애인 증가에 발맞춰 IoT 연계 지원 확대
의사소통 보조기기부터 체계적 운영·사후관리까지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 장애인 사회 참여 돕겠다”
코스콤이 ‘장애인 맞춤형 IT 보조기기 지원사업’을 통해 장애인 자립과 삶의 질 향상에 힘쓰고 있다. 윤창현 코스콤 사장(왼쪽)이 ‘2025 코스콤 장애인 맞춤형 IT 보조기기 지원사업 전달식’에서 백경학 푸르메재단 상임이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코스콤
코스콤의 ‘장애인 맞춤형 IT 보조기기 지원사업’이 장애인의 실질적인 자립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27일 코스콤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시작된 ‘장애인 맞춤형 IT 보조기기 지원사업’은 코스콤을 대표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IT 기술을 활용해 창업을 앞둔 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에는 서울·경기·부산 지역의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 20명을 대상으로 학습·업무·일상생활에 필요한 맞춤형 IT 보조기기를 보급하며, 디지털 격차 해소에 힘을 쏟고 있다.
현재까지 총 1040명의 장애인에게 2454점의 IT 보조기기를 지원했으며, IT 전문가 및 창업가와의 1:1 멘토링을 통해 기술 경쟁력과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 자립을 돕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을 받는다.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 제약을 겪는 이들에게 컴퓨터·스마트기기 접근성을 높이는 다양한 보조기기를 제공해 정보 격차를 완화하고, 사회 진출의 기회를 넓히고 있다.
최근 증가하는 1인 가구 장애인을 위해서는 스마트 IoT(사물인터넷) 기기를 함께 지원해 움직임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돕고 있다. 이는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촉진하고 자립 기반을 강화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코스콤이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이들에게 조이스틱 마우스·멀티확대 터치 모니터·높낮이 조절 책상 등을 지원했다. ⓒ코스콤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보조기기 지원으로 사회 참여를 확대했다. 코스콤은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전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등 소통 환경 개선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을 주요 대상으로 컴퓨터·모바일 접근성을 높이는 보조기기를 무료로 제공하며,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춘 거치대를 함께 보급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소통·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정보 접근성 향상과 사회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코스콤은 전국의 협력기관과 긴밀히 연계해 보조기기 지원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보조공학사·작업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전문가의 상담과 평가를 통해 개인별로 가장 적합한 기기를 선정하며, 외부 심사위원단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대상자를 최종적으로 확정한다.
기기 보급 이후에는 사용 훈련과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진행해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
올해 10월 31일 열린 ‘제2회 코스콤 후원 장애인 IT 창업아이템 공모전’ 성과 발표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코스콤
코스콤은 IT 기술 발전 속에서 장애인이 소외되지 않고, 스스로의 역량을 발휘하며 자립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김도연 코스콤 경영전략본부 본부장은 “장애인 맞춤형 IT 보조기기 지원사업은 잠재력과 역량을 지닌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돕는 의미있는 활동”이라며 “장애인들이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고,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