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매장 뿐만 아니라 지자체 산하기관도 현금 수납 제한"
"비금융 ATM업체도 영업 중단…업계 영업환경 변화 가시화"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 하반기 정기회의를 개최했다.ⓒ한국은행
최근 현금 사용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현금 수납 제한 사례가 늘고 현금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국내 화폐유통 시스템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은행은 지난 13일 한은 본관에서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 하반기 정기회의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협의회 의장인 김기원 발권국장은 "최근 버스나 매장 뿐만 아니라 지자체 산하 기관에서도 현금 수납을 제한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등 현금 수용성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금수송업체나 비금융 ATM업체 중에서 영업을 중단하는 사례도 발생하는 등 업계 영업환경의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어 화폐유통시스템 유지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최근 화폐 수급 동향 및 주요 특징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했다.
화폐는 5만원권을 중심으로 순발행이 지속되면서, 2025년 3분기 말 기준 화폐 발행 잔액은 209조원 수준에 이르렀다.
은행권은 최근 명절자금 환수를 제외하고 순발행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주화의 경우 10원화를 제외하고 순환수 기조로 10원화의 순발행 규모도 빠르게 감소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참석자들은 인구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화폐유통 생태계 변화에 대해서도 평가하고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의 인구의 수도권 집중화와 비현금 결제수단 선호가 심화될 경우 향후 화폐유통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인구의 수도권 집중화 지속시 비수도권의 은행 점포와 ATM 등 현금접근지점이 더욱 빠르게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적절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현금사용 감소 현상과 급변하는 영업환경에 대한 현금수송업체, 비금융 ATM 운영업체의 대응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비금융 ATM 업계는 ATM 이용 감소와 '장애인차별금지법' 적용 등으로 업무환경이 어렵지만, ATM 수를 줄이기보다는 정부 등 관련 기관과의 조율을 통해 절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아울러, 내부경영 시스템에 AI를 도입하거나 AI 기반 현송경로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는 등 AI를 활용한 경영효율화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소매금융업체는 현금결제를 받아주는 것이 운영측면에서 비용이 더 소요되지만, 현금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현금수용 인프라를 계속 유지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협의회는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화폐유통 인프라 유지를 위해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참가기관간 긴밀한 정보공유와 협력 체계를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