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되고자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 중심으로 출제"
사탐런에 대해선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가 영역 간 유불리 문제로 퍼진 형태"
"작년 출제 기조 이어가도록 해서 표준점수 차이 크게 나지 않을 것"
김창원 수능 출제위원장이 13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방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김창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위원장은 13일 "2026학년도 수능은 사교육에 유리한 문항은 배제하고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최소화하는 등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적정 난이도로 고르게 출제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수능 출제 경향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며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은 이미 출제된 것이라도 문항의 형태, 발상, 접근 방식 등을 변화시켜 출제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다"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연계율은 문항수 기준으로 50% 수준에서 연계 체감도를 높여 출제하고자 했다"며 "선택과목이 있는 영역에서는 과목별 난이도 균형이 이뤄지도록 출제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출제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어와 영어에서는 출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했으며 수학과 탐구, 제2외국어/한문은 개별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 평가를 지향했다"며 "한국사는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해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올해 수능의 최대 변수로 일컬어지는 이른바 '사탐런'과 관련해 "사탐런 현상에는 모든 학생이 기본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려는 본능이 있다"며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가 영역 간 유불리 문제로까지 퍼진 형태"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러나 우리는(출제위원회는) 애초에 세운 목표 난이도에 따라 작년 수능 기조와 올해 6월·9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근거해 문제를 출제한다면 그러한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했다.
작년 수능과 유사한 수준이냐는 질문에는 "작년 출제 기조를 이어가도록 해서 (과목별) 표준점수 차이가 (작년과) 크게 나지 않도록 했다"며 "영어 같은 경우 절대평가인 만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학생들의 응답 특성을 고려해 적절하게 출제했다"고 답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