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계 레볼루션'이 미중 패권 경쟁과 '기정학(技政學)' 시대, 한국의 전략을 고민한다.
트럼프 2기 정부 이후 더욱 심화된 미중 갈등을, 이제는 대다수 국민이 직접 피부로 체감하고 있다.
ⓒ
'미중 관계 레볼루션'은 여기에, 이와 동시에 세계는 '기정학(技政學)' 시대로 진입하는 중이라고 설명한다. 지리적 환경이 아니라 기술 발전이 국제 질서를 결정짓는 시대에서, 새로운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는 AI 분야는 이제 국가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가 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GPU 생산과 인공지능 칩에 대한 원천 기술이 없고, D램 반도체 분야마저 중국에게 따라잡히고 있는 현재, 한국의 미래를 마냥 긍정적으로만 전망하기는 어렵다. 이에 '미중 관계 레볼루션'은 한국의 미래는 미국과 중국의 동향에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다며 그 속에서 정교하고 실효성 있는 생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에는 국내 정치·경제·외교·기술 분야 전문가 4인이 참여했다. 이렇듯 시급한 문제의식 아래, 전문가 4인이 한데 모여 나눈 논의를 기록했다.
지금의 미중 관계를 짚고, 나아가 요동치는 국제 질서 속, 한국의 미래와 함께 그렇다면 '개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까지 던진다.
이희옥·김영한·권석준·차태서 / 한겨레출판사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