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만 마시는 사람보다 9만개 많은 미세플라스틱 섭취
연구팀 "미세·나노플라스틱 존재여부 표시 의무화" 제안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를 계속 섭취했다가는 질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캐나다 콩고디아대학교 연구팀이 기존 논문 141편을 종합 분석한 결과, 인체는 매년 평균 3만9000~5만20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수돗물만 마실 경우 연간 4000개 수준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지만, 생수병을 통해 물을 마시면 그 수치가 9만4000개까지 치솟았다. 즉, 같은 물을 마셔도 플라스틱 섭취량이 20배 이상 급증하는 것이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작아 장기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음식이나 공기를 통해서도 체내로 유입된다. 체내에 축적될 경우 염증 유발, 소화 장애, 면역력 저하, 생식 기능 저하, 인지 기능 저하, 염색체 손상, 심지어 암 발생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생수병에 미세·나노 플라스틱 존재 여부와 잠재적 건강 영향을 명확히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 대한 생산자책임확대(EPR)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위험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을 통해 발표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