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팀과 별개로 서울청 리튬전지 전담 과학수사요원 3명 추가로 감식에 투입"
96개 시스템 중 민원 관련 4개 포함해 모두 8개 차질 빚고 있어
"큰 틀에서 치안 활동 문제 없지만 100% 정상화 위해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대비"
사상 초유의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리튬전지 전담 수사관을 감식에 투입하는 등 원인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2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대전청 형사과장·팀장 등 20명가량이 전담해 수사 중"이라며 "전담팀과 별개로 서울청 리튬전지 전담 과학수사요원 3명도 추가로 감식에 투입했다"고 말했다.
또 "화재 발생 당일을 제외하고 총 3회 현장 감식을 실시했다"고 했다.
경찰은 관련자 조사와 폐쇄회로(CC)TV 영상, 합동감식 자료 등을 토대로 리튬이온 배터리에 불꽃이 튄 이유와 배터리 분리 당시 구체적 상황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서울청에서 리튬배터리 화재를 담당하는 과학수사팀을 운영하며 ▲폭발물(경기남·경남) ▲생화학(서울·전남) ▲방사능(경북) ▲총기사건(강원) ▲항공기 사고(인천) ▲환경(전북) 등 총 7개 시·도청에서 수사팀을 운영 중이라고 했다.
국정자원 화재로 경찰은 96개 시스템 중 민원 관련 4개를 포함해 모두 8개가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 본부장은 "범죄 경력 회보 관련해서 신청 처리 현황 관련된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 작동이 잘 안되고 있고 우편 자동화 시스템도 수기로 일단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약자 종합지원에서 3가지 기능 중 로그인 기능이 안 되고 있고 유실물 종합 관리시스템, 분실물 접수 등 문자알림 서비스가 안 되는 것"이라며 "치안활동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전국 경찰헬기 16대를 관리하는 경찰헬기 항공시스템 역시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부품 수리와 헬기 위치·현황 등을 수기로 작성해 가동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국정자원 대전 본원과 연계된 시스템 중 알림 기능이 대부분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며 "큰 틀에서 치안 활동에는 문제가 없지만 100% 정상화를 위해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