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투신사고’ …인천대교 ‘자살대교’ 오명(汚名)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입력 2025.09.26 09:39  수정 2025.09.26 21:29

2009년 10월 개통 이후 현재까지 81명 투신, 연평균 5명

인천대교 야경 ⓒ데일리안 DB

국내에서 가장 긴 다리로 꼽히고 있는 인천대교(사진)가 ‘자살 대교’ 라는 오명(汚名)으로 회자(膾炙)되고 있다.


자살 우려는 2009년 개통 이후 16년여 동안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나 이 대교를 관리·운영하고 있는 인천대교㈜는 CCTV(폐쇠회로) 확대 설치를 통한 예방이 전부다.


순식간에 뛰어내리는 사람들을 사전에 막기가 어려워 예방책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


26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39분께 인천대교 상황실은 “차량 정차 후 해상으로 추락한 사람이 있다”고 해경에 신고했다.


현장에 출동한 해경은 대교 주탑 부근 갓길에 세워진 차량을 발견했으며, 운전자인 40대 남성 A씨가 추락한 것으로 보고 경비함정 3척을 투입해 주변 해상을 수색하고 있다.


이달 들어 인천대교에 정차한 운전자가 추락한 사례는 A씨를 포함해 모두 4건이다.


인천대교에서는 지난 9일, 22일, 25일에도 각각 30대 운전자가 차량을 세우고 바다로 추락해 숨졌다.


인천대교에서는 지난 2009년 10월 개통 이후 최근까지 발생한 투신 사망자는 81명에 달하고 있어 연 평균 5명이 추락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투신 사고가 잇따르자 지난 2022년 11월, 인천대교 갓길에 차량 주정차를 막기 위한 플라스틱 드럼통 1500개가 설치되기도 했다.


그러나 긴급 상황 대응을 이유로 지난달 철거된 바 있다.


투신사건이 해마다 일어나고 있는데도, 인천대교에 CCTV를 추가 설치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예방책이 없는 실정이다.


인천대교㈜는 다리 양방향에 각각 순찰차를 투입해 24시간 순찰활동을 벌이고 있으나 순간적으로 벌어지는 일이라 이 또한 미봉책에 그치고 있다.


특히 차량이 정차하거나 어떤 물체가 갑자기 날아와 도로에 떨어졌을 때 상황실 알람이 울리는 ‘유고 감지시스템’을 지난해 구축했지만, 자살 예방에 큰 도움이 못되고 있다.


인천시도 지난 2019년 투신자살 시도가 많은 인천대교와 경인아라뱃길 시천교 등에 투신방지 시설·시스템이 구축할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인천연구원에 교량 투신방지 대책 수립 연구과제를 추진하려 했으나 연구대상에서 제외돼 무산됐다.


인천대교의 주탑 부근 도로는 아파트 30층 높이와 비슷한 74m 높이로 떨어지면 즉사할 가능성이 크다.


또 시속 100km로 고속 질주하기 때문에 다른 운전자들이 투신자를 발견할 경우 이를 말릴 수 있는 여유도 거의 없다.


게다가 대교의 난간이 낮아 약 19km 길이의 도로 모든 구간에 난간 높이를 보강하는 것 또한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


인천대교㈜는 투신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뚜렷한 대책이 없어 난처하기만 하다.


업계 관계자는 “언제까지 인천대교가 자살대교 라는 오명을 뒤집어 써야 하느냐”면서 “인천시 당국과 설계자, 발주처 등 관련 기관이 머리를 맞대고 하루 빨리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 한다” 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