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SB NPL' 영업인가…회원사 재원 더해 자본금 100억원 확충 계획
정상화 펀드 하반기도 진행…최대 1조5000억원 규모 부실 채권 정리 목표
업계 "매각수요 조사·자본금 확충 등 절차 거쳐 12월 중 매입 작업 본격화"
"6차 정상화펀드 조성 가능성도 열려 있어…모든 채널 동원해 정리할 것"
저축은행 업계가 '부실 털기'에 속도를 속도를 내고 있다. 부실채권(NPL) 정리를 전담할 전문 관리회사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영업 인가를 받으면서, 하반기 대규모 부실채권 매각 작업에 한층 힘이 실릴 전망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최근 금감원으로부터 NPL 전문 자회사 '에스비엔피엘대부(SB NPL)'의 영업인가를 받았다.
SB NPL은 지난 5월 19일 지분 100%, 자본금 5억원의 자회사 형태로 설립됐다. 초기 자본금은 5억원이지만 추후 회원사 재원을 더해 100억원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자본금이 100억원으로 늘어나면 최대 1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연체율을 약 1%포인트(p) 낮추는 효과가 기대된다.
매각 수요 조사와 자본금 확충 등 절차를 거쳐 늦어도 12월에는 본격적인 업무 개시에 들어갈 예정이다.
NPL을 통한 연체율 개선은 이미 다른 업권에서 실효성이 입증된 바 있다. 은행권(유암코), 농협(농협자산관리회사), 새마을금고(MCI대부), 신협(KCU대부), 수협(수협NPL대부)에는 자체 전문 회사가 있어 부실채권 정리를 담당하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가 올해 최우선 과제로 부실자산 정리를 꼽고 건전성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자회사 출범은 속도전에 불을 붙일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협회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금융권에서 매각을 추진 중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은 총 323곳이다. 이 중 저축은행이 대리금융기관으로 등재된 사업장은 50곳(감정 평가액 1조1776억원)에 달한다.
중앙회는 이미 올 상반기 두 차례 PF 정상화 펀드를 통해 1조4000억원의 부실채권을 털어냈다. 하반기에도 정상화 펀드를 통해 1조~1조5000억원 규모의 추가 정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부실 털기' 효과는 수치로 나타난다. 올 상반기 저축은행 업권 연체율은 7.53%로 지난해 말(8.52%)보다 0.99%p 하락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중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 역시 9.49%로 지난해 말(10.68%) 대비 1.19%p 낮아졌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SB NPL의 경우 매각수요 조사, 자본금확충, 저축은행투자자 의견수렴 등 절차를 거쳐 12월 중에는 매입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5차 PF 정상화펀드도 9월 중으로 클로징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 중"이라며 "아직 미정이지만, 6차 펀드 조성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황이다. 가능한 모든 채널을 동원해 부실채권을 정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