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외인 '팔자'…기관 '사자'
코스닥도 상승 마감
미국 상호관세 발효일인 7일 코스피가 상승 마감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9.54포인트(0.92%) 오른 3227.68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6.67포인트(0.52%) 오른 3214.81로 출발했다.
투자주체별로 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1966억원, 170억원을 팔아치웠고, 기관이 1091억원을 사들였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삼성전자(2.47%)·SK하이닉스(1.35%)·LG에너지솔루션(0.65%)·삼성전자우(1.59%)·현대차(0.95%)·HD현대중공업(1.82%) 등은 올랐고, 삼성바이오로직스(-0.19%)·한화에어로스페이스(-0.43%)·KB금융(-0.52%)·두산에너빌리티(-1.36%) 등은 내렸다,
삼성증권 리서치센터는 "국내 증시는 순환매가 지속돼 상승 마감했다"며 "호실적을 발표한 업종을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같은날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32포인트(0.29%) 오른 805.81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78포인트(0.22%) 오른 805.27로 출발했다.
투자주체별로 보면, 개인이 홀로 914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58억원, 220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론 알테오젠(-1.71%)·에코프로비엠(-0.87%)·펩트론(-1.12%)·HLB(-4.09%)·리가켐바이오(-0.27%)·삼천당제약(-4.09%) 등은 내렸고, 파마리서치(1.67%)·레인보우로보틱스(1.45%)·휴젤(5.26%) 등은 올랐다. 에코프로는 보합 마감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8.3원 내린 1381.2원에 거래를 마쳤다.
내일 증시는 미국 노동부가 발표하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2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잠청치 등 각종 지표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반도체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 관련 언급을 내놓을 경우, 관련 종목 주가가 출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 연준 정책 등의 불확실성은 알려진 악재의 범주에 있다"며 "전반적인 지수 추세가 붕괴 될 가능성이 낮기에 조정 시 분할 매수 전략으로 대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