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10명 꼴…우울·질환·경제난·고립 등 복합적 요인
생계 보장·정서 돌봄 등 종합 대응책 시급
지난 5년 간 극단적인 선택을 한 65세 이상 노인이 1만8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 인구가 빠르게 늘면서 빈곤 노인의 수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생계 보장과 정서적 돌봄을 아우르는 종합 대응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9~2023년 5년 간 자해로 숨진 65세 이상 노인은 1만8044명이다. 2023년 한 해에만 3838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는데 하루 평균 10.5명에 이른다.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 사망률은 지난 2023년 65세 이상에서 40.6명이었다. 2019년(46.6명)에 비하면 다소 낮아졌지만 2023년 15∼64세(28.0명) 사망률과 비교하면 45% 높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노인 자살 원인과 관련해 경제적 어려움, 만성질환, 관계 단절, 사회적 고립 등이 복합적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0.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또 노인들은 농약·목맴 등 치명적인 수단으로 자살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고 회복하는 경우도 드물다.
오대종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박사는 최근 대한의사협회지에 게재한 글 ‘노인 자살의 이해와 예방’에서 “노년기 자살은 무기력감, 무쾌감, 신체 질환, 경제적 부담이 누적된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며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적절한 개입으로 연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