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유럽연합(EU)이 24일 중국 베이징에서 수교 50주년을 맞아 정상회담을 열고 협력강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서로 공감하면서도 EU의 대중 관세조치와 무역 불균형 등 통상 현안에 대해선 이견 차를 드러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날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EU 안토니우 코스타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을 만났다. 중국 측은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장관급)이 배석했다.
시 주석은 “100년에 한 번 있을 변화와 혼란이 얽힌 국제정세에 직면해 중국과 유럽의 지도자들은 역사적 검증을 감당할 수 있는 올바른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무역전쟁에 함께 대응하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그러면서 “중국과 EU 모두 다자주의를 지지하고 개방과 협력을 옹호하는 건설적인 세력”이라며 “국제정세가 심각하고 복잡할수록 소통을 강화하고 상호신뢰를 증진하며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 안정적이고 건강한 관계를 통해 세계에 더 많은 안정성과 확실성을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유럽이 현재 직면한 도전은 중국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양측 간에는 근본적인 이해충돌과 지정학적 갈등이 없다”며 “중국과 유럽 관계는 제3자를 겨냥하거나 의존하지 않으며 통제를 받지도 않는다”고 언급했다. 향후 중국과 EU의 관계 발전을 위해선 ▲상호존중 ▲동반자관계 지위 강화 ▲개방·협력 유지 ▲이견·마찰 관리 ▲다자주의 실천과 국제규범·질서 수호 등을 제안했다.
이에 코스타 상임의장과 폰데어라이엔 위원장 등 EU 지도자들은 “유럽이 중국과 관계를 심화하고 이견을 건설적으로 처리하며 양측 협력이 균형 있고 대등하며 상호이익이 되는 기초 위에서 긍정적 성과를 더 많이 거두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통상문제에 관해선 심각한 무역 불균형 문제를 지적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EU가 중국과 무역에서 지난해 3000억 유로(약 483조원)의 적자를 보는 등 “임계점에 도달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양측 협력이 심화함에 따라 불균형도 심화했다”며 “불균형 해소가 필수적이다. 양측이 각자의 우려를 인정하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중국과 EU는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역갈등을 빚어왔다. 지난해 10월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45%에 이르는 고율관세를 부과하기로 하자 중국은 EU산 브랜디에 반덤핑 관세를 매기면서 보복 조치에 나섰다.
이후 중국이 희토류 수출통제를 시행하자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지난달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중국이 희토류 자원을 무기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 18일에는 러시아를 지원했다는 이유로 EU에서 중국 은행 2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고 중국 정부는 이에 강력하게 항의했다.
코스타 의장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을 끝내기 위해 중국이 러시아에 영향력을 행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중국이 러시아에 영향력을 행사해 러시아가 유엔헌장을 존중하고 우크라이나전쟁을 종식하게 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오후에는 코스타 의장과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를 만나 중국·EU 간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관영 중국중앙TV(CCTV))가 보도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