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폭우로 먹거리 물가 비상
소비쿠폰 지급 맞물려 민생회복
내달 25일 ‘2+2 통상협의’ 시행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내적으로는 민생회복을, 대외적으로는 미국과의 관세협상을 위한 행보를 본격화한다.
최근 역대급 폭우로 먹거리 등 생활물가 전반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점과 맞물려 내수 활성화를 도모하고, 내달 25일 앞둔 미국과의 ‘2+2 통상협의’를 빠른 시일 내 진행하겠다고 예고했다.
수해로 ‘농산물 물가’ 비상…具 “단기과제는 생활물가”
지난 80여일간 비어있던 경제사령탑의 빈자리에는 과제가 산적해있다. 대표적인 게 무너진 생활물가다. 지난해 말 12·3 비상계엄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빚어졌고, 이로 인해 소비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내수 침체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22일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11월 100.7에서 12월 88.2로 급락했다. 해가 바뀐 이후에도 줄곧 80~90대를 유지하며 기준치인 100을 넘기지 못했다.
얼어붙은 소비자심리는 곧 내수 침체와 물가 상승을 유발했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을 살펴보면 소비자물가의 경우 지난해 12월(1.9%) 이후 줄곧 2%대를 유지하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1월 2.2%, 2월 2.0%, 3월 2.1%, 4월 2.1%, 5월 1.9%, 6월 2.2%를 기록했다.
특히 먹거리 물가가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문제는 집중 호우에 따른 농작물 침수 피해까지 극심해 향후 먹거리 물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점이다.
구 부총리는 취임 첫날 기자들을 만나 생활물가 안정화를 단기과제로 짚었다. 구 부총리는 “단기적으로는 수혜 등으로 인해 생활물가를 안정화시켜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25일 한·미 협상…정부 “관세…경기 하방압력 여전”
미국과의 관세협상도 재개한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미국과의 2+2 통상협의에 대해 논의했다.
이재명 정부 1기 경제·산업 수장은 오는 25일 미국에서 미국 재무장관과 USTR 대표를 만나 2+2 통상협의를 실시한다.
구 부총리는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논의했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촘촘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외교장관, 산업장관과도 각각의 카운터 파트와 회의하기 위해 빠르면 이번 주, 미국으로 갈 계획이다. 해당 일정은 산업부·외교부에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통상협상에는 산업부 장관이 아닌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함께한다. 앞서 4월에는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전 산업부 장관이 미국과 협상을 가졌다.
미국과의 관세협상도 구 부총리가 풀어나가야할 숙제 중 하나다. 내달 1일 미국의 관세협상을 목전에 두고 우리나라 수출입이 일제히 감소하며 상황은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세청의 ‘7월 1~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은 36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 수입은 356억 달러로 4.3% 감소했다.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가 시작된 자동차 부품(-8.4%) 등이 크게 줄었다.
정부 역시 대외 상황을 녹록지 않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 7월호를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고용애로가 지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로 대외여건이 악화됐다.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압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내달 1일 관세협상이 어떤 결말을 가져올 지도 관건이다. 또 미국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시사해 대외 여건은 갈수록 불안정해지고 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수출이 이달 초까지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추후 관세율이 어떻게 적용될 지에 대해서는 하방압력이 크다”며 “전반적인 경제 상황에서 여전히 하방압력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