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부터 해당 기업 서비스 제공
행안부, 보안성·적합성 평가 강화
행정안전부가 2025년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신한은행, 우리은행, 중소기업은행, 하나은행 등 4개 은행을 최종 선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 앱뿐만 아니라 모두 10개 민간 앱에서 발급 및 사용이 가능해졌다. 국민이 이용하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신분증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됐다.
정부는 디지털 신원확인 접근성과 편의성 제고를 위해 모바일 신분증의 민간개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지난 2024년 3월 삼성전자가 1차 민간참여기업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2차로 국민은행, 네이버, 농협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뱅크가 선정돼 올해 7월 말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는 추가로 신한은행, 우리은행, 중소기업은행, 하나은행이 선정됨에 따라 민간 앱 기반 신분증 활용 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민간개방 참여기업 모집 공모는 6월 9일부터 7월 4일까지 진행됐다. 보안 및 인증 분야 전문가 7인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보안 수준, 개인정보 보호 방안, 신뢰성, 장애 대응체계, 서비스 활성화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상위 4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기업들은 7월부터 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내년 1분기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2분기 적합성 평가를 통과하면 7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은 이용자 단말기 내 보안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된다. 중앙 서버에는 별도 보관되지 않아 해킹 피해에도 안전하다는 것이 행안부 설명이다.
분실 시에는 생체인증, 앱 비밀번호 등으로 접근이 차단되고, 잠금 처리가 가능하다. 적합성 평가는 금융보안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등 전문기관이 담당한다. 필수 기능 구현, 앱 위변조 및 탈취 방지, 안면인식 기능의 정합성 등 보안성과 안정성을 중점적으로 검증한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정부가 구축한 모바일 신분증 플랫폼 위에 민간의 창의적인 혁신 서비스가 더해지면서, 모바일 신분증이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 민관협업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신분증은 국가가 공인하는 신원 증명 수단인 만큼, 모바일 신분증 역시 최고 수준의 보안을 갖춰 국민이 믿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