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완료…산림청, 피해 확산 저지 총력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5.07.09 17:03  수정 2025.07.09 17:03

기후변화로 활동 빨라진 매개충, 조사·방제체계 개편

헬기·AI 활용 선제조사 확대…수종전환 신청도 가능

헬기를 이용한 항공예찰 광경. ⓒ산림청

산림청은 2023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던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감염목 조사 방식을 개선하고 예산과 인력을 대폭 투입한 결과, 2025년 상반기까지 방제를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은 북미에서 유입된 외래병해로, 솔수염하늘소 등 매개충에 의해 퍼지며 감염된 소나무류를 급속히 고사시키는 병이다. 첫 발생은 1988년 부산에서 확인됐다.


산림청은 올해 5월까지 감염목 149만 그루를 조사하고, 감염 우려목을 포함해 총 261만 그루에 대한 방제를 실시했다. 특히 헬기를 활용한 선제적 고위험지역 조사 방식과 조사기간 확대(5개월→7개월)를 통해 448만ha 규모의 산림을 점검했다. 방제기간도 기존 3~4월에서 5월까지 늘렸다.


지역별로는 전년보다 12개 시·군·구가 늘어난 총 154개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포항·울산·안동 등 영남권을 중심으로 피해가 집단화되고 있다. 극심 지역은 6곳에서 10곳으로 증가했고, 이들 지역의 감염목 91만 그루는 전체 발생의 65%를 차지했다.


기후변화와 이상고온 등으로 매개충의 활동이 빨라지고 피해 확산 위험도 높아지는 가운데, 산림청은 지방자치단체 신청 방식이던 기존 조사방식을 선제 조사체계로 개편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재선충병 발생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산림청은 드론·라이다·AI 등을 활용해 감염 의심목을 자동 선별하고, 반복 피해지역 등에서는 활엽수로 수종을 바꾸는 수종전환 방제를 확대하고 있다. 수종전환은 피해를 입은 산림 소유자가 관할 지자체에 신청하면 받을 수 있다.


산림청은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방제 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 확대, 재정당국과의 협의를 통한 예산 안정화도 추진 중이다.


이용권 산림재난통제관은 “기후변화로 소나무 생육 환경이 어려워지고 있지만, 소나무림은 우리 국토 산림생태계의 핵심”이라며 “확산 억제를 위해 관계기관과 주민들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