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잔액 두 달 연속 증가…고신용자까지 가세
고신용자 카드론 대출 건수, 한주만에 33% 늘어
"규제 회피 심리 부추긴 풍선효과…연체율 상승 가능성도 높아"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 시행을 앞두고 카드론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규제 사각지대에 있던 카드론과 현금서비스가 다음달부터 DSR 산정에 포함되면서, 이를 회피하려는 수요가 쏠리는 전형적인 '풍선효과'가 재현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급할 때 꺼내 쓰는' 서민금융의 마지막 수단으로 알려진 카드론이 이제는 고신용자들까지 가세하면서 대출 구조의 왜곡 우려마저 커지고 있다.
25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카드론 잔액은 9개 주요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 기준 총 42조6571억원으로, 전월보다 1566억원 늘어났다.
1분기에는 부실채권 상각 효과로 일시 감소했던 카드론이 4월부터 다시 반등하면서 두 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7월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 규제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규제는 모든 가계대출에 일괄적으로 1.5%의 가산 금리를 적용해 차주의 대출한도를 엄격히 제한하며, 기존에 제외됐던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도 포함된다.
그간 'DSR 프리패스'로 여겨졌던 카드론에 갑작스레 규제가 적용되면서, 제도 시행 전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폭증했다는 분석이다.
주목할 점은 이 증가세가 중저신용자에 국한되지 않고, 고신용자층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출 중개 핀테크 기업 핀다에 의하면 신용점수 900점 이상 고신용자의 2금융권 대출 약정 건수는 5월4주차(19~25일) 기준 전주 대비 40% 넘게 증가하면서 한주 만에 카드사, 보험사 이용이 눈에 띄게 늘었다.
같은 기간 고신용자의 카드론 한도를 조회한 건수는 30.7% 증가했고, 카드론 대출 약정 건수도 33.3% 늘었다.
이처럼 금융당국이 1금융권 중심으로 대출 총량을 조이자,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금융상품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결국 DSR 관리라는 정책 목표는 유지했지만, 수요가 비은행권으로 옮겨가며 실질적인 대출 억제 효과는 반감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카드론 등이 일반 신용대출보다 금리는 높지만 접근성과 승인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규제 회피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규제 방침이 오히려 특정 대출상품으로의 쏠림을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더욱이 카드론 급증이 단순한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카드론은 구조적으로 금리가 높고, 상환 기간이 짧아 연체 가능성이 크다. 고신용자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실제로 카드론을 갚지 못해 카드론을 빌린 카드사에 다시 대출받는 대환대출 잔액은 지난 5월 1조4762억원으로 4월 말(1조4535억원)보다 소폭 늘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금리 리스크가 높은 금융상품에 소비자들이 무분별하게 노출되면, 추후 연체율 상승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용등급별로 차등화된 대출정책이 실효성을 잃으면서 고신용자조차 규제를 피해 고금리 상품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장 전반의 대출 구조 왜곡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