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불법 정치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 울산공장을 비롯한 전 공장에서 생산이 중단됐으며, 파업이 진행되는 이틀간 5000대 이상의 차량이 생산 차질을 빚을 예정이다.
현대차는 노조의 부분파업에 따라 전차종에서 부분적 생산차질이 있을 것이라고 5일 공시했다. 생산 중단 분야의 매출액은 78조원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액(162조 6636억원)의 47.97%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전국금속노동조합의 지침에 따라 이에 속한 현대차지부는 이날부터 오는 6일까지 주간조, 야간조 각 2시간씩 파업에 돌입했다. 금속노조는 지난 4일 '불법 계엄 규탄,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전체 조합원에게 이같은 파업 돌입 지침을 내렸다.
현대차의 오전 근무조 조합원들은 오후 3시 30분인 퇴근 시간보다 2시간 먼저 퇴근한다. 오후 출근조는 출근 시간을 오후 3시 30분에서 5시 30분으로 늦춘다. 파업 참여 인원은 약 4만 3000명 가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의 후폭풍이 산업계까지 번진 가운데, 회사와의 갈등이 아닌 정치파업이라는 점에서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현대차의 생산차질 피해는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특히 현대차 노조는 금속노조 내 대규모 노조로 꼽히는 만큼 노조의 지침에 반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노조가 정치적 이유로 파업을 벌이는 것은 현행법상 불법이다. 노조는 근로조건과 관련해 사측과 쟁의가 발생했을때 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하고, 조정신청 중지 결정이 날 경우에만 쟁의권을 확보해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다.
한편, 금속노조는 오는 11일부터는 무기한 전면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