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들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액 고작 1억원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입력 2023.09.28 09:41  수정 2023.09.28 09:41

우선구매 공공기관 1000여 곳 넘어

김영주 의원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에 적극 나서야”


연도별 명절 선물세트 공공기관 판매 실적. ⓒ김영주 의원실

지난해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 대상 공공기관들의 명절선물 구매액이 1억원 수준의 저조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주 의원(영등포갑・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장애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중증장애인 생산시설 선물세트 공공기관 판매실적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매년 총구매액의 1% 이상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해 구매의무를 부여해주는 제도다. 지난해 기준 모두 1042개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대상이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은 장애인 근로자 10명 이상을 고용하는 시설이다. 현재 762개가 지정돼 1만4283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매년 명절이면 중증장애인 장애인생산품 카탈로그 등을 발송해 선물세트 홍보하고, 판촉행사를 통해 중증장애인생산품 선물세트 구매를 독려하고 있다. 올 추석에는 건강기능식품, 견과류, 공예품, 농산물 가공품 등 총 179개의 선물세트를 판매 중이다.


그러나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공공기관 판매는 2020년 설날 4억3000만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동안 중증장애인 생산품은 7005억원 치를 공공기관에 판매했는데, 설날과 추석에는 각각 1억원 치 밖에 판매하지 못했다.


중증장애인 생산품 명절 선물세트 판매 저조 이유에 대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은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들이 인사이동이 잦고,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에 대한 교육과 홍보 실적이 저조해 담당자 관심도에 따라 1회성 구매에 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렇다보니 판매실적이 적고 연도별로 구매실적이 들쑥날쑥한 것이다. 장애인생산시설도 선물세트 생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선물세트를 민간에 판매하기 위해 명절 귀성객들이 오가는 기차역이나 공항 등에 전시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영세한 중증장애인생산업체가 감당하기에는 대관료가 너무 비싸 행사 자체를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김영주 의원은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는 장애인의 소득 보장을 돕고 사회참여를 확대해 궁극적으로 자립생활을 가능하게 한다”며 “정부‧공공기관이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에 적극나서 이들 생산품에 대한 인식개선과 명절기간 따뜻한 나눔과 가치 소비문화 확산에 더욱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어 “최근 가치소비 문화가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중증장애인 생산품 선물세트의 민간구매까지 활성화되도록 이들 생산품에 대한 민간 홍보‧판촉 활동에도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