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불패 굳건"…서울 경매시장 분위기 '극과 극'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입력 2023.08.02 06:31  수정 2023.08.02 06:31

강남선 감정가 대비 높은 가격에 속속 낙찰

재건축 이슈 등 개발호재, 미래가치 상승 기대감 작용

비강남 아파트 경매는 관심 '시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의 온도 차가 뚜렷하다.ⓒ데일리안DB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의 온도 차가 뚜렷하다. 강남권에서 매물로 나온 아파트에는 응찰자가 몰리며 감정가가 시세보다 높아도 속속 집주인을 찾는 반면, 비강남권 매물은 유찰을 거듭하는 등 수요자들이 눈길을 주지 않고 있다.


2일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1~28일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 낙찰가율은 90.4%다. 강남3구의 낙찰가율은 올 1월 90.5%를 기록한 이후 줄곧 70~80%선을 오르내렸다. 그러다가 반년 만에 다시 90%대로 올라선 것이다.


낙찰률은 같은 기간 58.1%를 기록했다. 31개의 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경매가 진행돼 이 중 18건이 낙찰됐다. 올 들어 낙찰률이 50%를 넘긴 건 처음이다. 평균 응찰자수는 10.9명으로 한 달 전 5.3병의 2배 수준이다.


해당 기간 서울의 아파트 낙찰가율은 86.2%, 낙찰률은 38.3%다.


서울 주요 노후단지들의 재건축이 속도를 내면서 경매시장에서도 강남권 아파트로 수요자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셈이다. 감정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낙찰되는 사례도 잇따른다.


지난달 경매시장에 나온 강남구 압구정현대4차 전용 118㎡은 55억2799만원에 낙찰됐다. 감정가가 44억300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25%가량 더 높은 가격에 집주인을 찾았다. 이보다 앞서 6월에는 강남구 청담동 대우유로카운티 122㎡가 감정가(25억원) 대비 1000만원 비싼 25억1000만원에 낙찰됐다.


경매로 낙찰받은 물건은 토지거래허가구역이라도 실거주 의무가 없어 전세를 기고 매매하는 갭투자가 가능하다.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도 없다. 여기에 향후 재건축 추진에 따른 미래가치가 낙찰가보다 더 높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비강남권 아파트 물건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은 시들하다. 감정가가 지난해 집값 하락이 본격화하기 전 책정돼 현재 시세 대비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어서다.


노원구 상계동 일원 상계주공 전용 41㎡는 올 3월 첫 경매 당시 감정가가 5억6800만원이었다. 두 차례 유찰을 반복한 이후 지난 6월 감정가 대비 40% 하락한 3억6350만원으로 경매에 나섰지만, 여전히 응찰자를 찾지 못한 상태다.


강북구 미아동 래미안트리베라 전용 85㎡는 10억1300만원으로 감정가가 책정됐으나 주인을 찾지 못했다. 한 차례 유찰된 이후 6월 8억1000만원으로 가격이 떨어졌지만 여전히 수요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과 집값 바닥론 확산, 올해까지 한시 운영되는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하려는 매수세 유입 등이 영향을 미쳤다”며 “다만 서울 낙찰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점을 고려하면 지역별, 가격별 차별화 현상이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부동산 전문가는 “용산을 비롯한 강남3구는 여전히 규제지역으로 묶여있다”며 “강남 아파트 물건들 중 감정가, 시세보다 비싸게 낙찰되는 물건은 대부분 재건축 호재를 안고 있어 향후 가치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하고, 낙찰 시 실거주 의무가 없다는 이점이 부각돼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