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제4차 지하수관리기본계획’ 수립…지하수 활용 확대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3.06.22 14:43  수정 2023.06.22 14:44

6대 추진전략·18개 세부 과제

환경부가 지하수 저류댐을 활용해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보길 저수지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환경부

환경부는 지하수 체계적인 개발·이용과 효율적인 보전·관리를 위한 ‘제4차 지하수관리기본계획(2022~2031)’을 수립해 23일에 공고한다.


지난 4월 국가물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이번 계획은 지하수 분야 최상위 계획이다. 10년간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모두가 누리는 건강하고 안전한 지하수’라는 비전 아래 ‘지하수 수량·수질 통합관리 실현’을 목표로 6대 분야별 추진전략과 18개 세부 과제를 담았다.


계획에 따라 유역 기반 지하수 수량과 수질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유역 단위 지하수 관리를 위한 수량·수질 관리 기준을 마련한다. 조사·측정체계 또한 유역 단위로 단계적 전환한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수 활용을 늘린다. 극심한 가뭄 등에 대비해 지하수를 대체 수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인공함양시설 설치를 확대한다. 유출 지하수, 지하수열 등 활용을 촉진해 탄소 중립을 위한 지하수 역할을 강화한다.


지하수 오염 전주기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신규 지하수 오염물질 관리를 위한 지하수 수질 기준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지하수 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사전예방과 오염 발생 때 정화지침 등을 마련한다.


지하수 관리를 위한 기반시설(인프라)을 개선한다. 실측 기반 지하수 시설과 이용량에 대한 관리체계를 개선해 신뢰도를 높인다. 제도 정비와 지역 지하수 관리위원회 활성화를 통해 실행력 있는 지하수 관리 정책을 추진한다.


지하수 정보를 지능(스마트)적으로 관리해 국민에게 제공한다. 지하수 시설에 대한 정보무늬(QR코드) 설치, 이용량에 대한 원격 관측(모니터링) 등 첨단 정보통신 방식으로 관리를 강화한다.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정보망(오픈 플랫폼)을 구축해 국민 편의성을 향상한다.


지하수 산업을 활성화하고 기술개발을 확대한다. 지하수 분야 신규 산업을 발굴해 육성한다. 국내외(글로벌) 협력을 활성화하는 등 미래 지하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