팰리세이드의 첫 '페이스리프트' 모델
힘좋은 패밀리카에 운전자 마음 뜨거워지지만
부담스러운 연비는 차가운 현실
팰리세이드가 '국가대표 아빠차'라는 별명에 걸맞게 더욱 강해진 외관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패밀리카 시장에서 기아의 미니밴 카니발과 엎치락뒤치락 경쟁하고 있는 '더 뉴팰리세이드'를 카니발 4세대 차주가 시승해봤다.
카니발 4세대와 비교해 더뉴 팰리세이드는 속도가 붙을수록 확실히 잘 나갔다. 힘이 좋아 잘 나가고 브레이크 성능도 우수했지만, 뒷좌석의 안락함이나 연비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남았다.
더 뉴 팰리세이드는 지난 2018년 출시된 팰리세이드의 첫 번째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기존 모델보다 캐스케이드 그릴이 더욱 넓어지며 '아빠차'라는 별명을 가진 차다운 웅장함으로 무장했다.
내부 디자인도 시원한 공간감을 자랑한다. 기존에 3개로 나뉘었던 송풍구를 하나로 연결했다. 공조 장치에는 터치스크린을 적용해 '하이테크 감성'을 강조했다. 우드 가니시나 가죽, 송풍구의 금속 소재는 남성스러운 세련미를 풍겼다. 디스플레이는 기존 10.25인치에서 12.3인치로 키웠다.
모양새는 '우락부락'하지만 주행감은 가벼웠다. 핸들링이 가벼워 최대한 힘을 빼고 운전해야 했다. 그렇다고 '힘 좋은 차'의 로망까지 포기하지는 않았다. 패밀리카로서 명성을 떨치고 있지만 '대형 SUV 제왕'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뛰어난 가속력을 보였다.
특히 고속으로 갈수록 오히려 안정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힘이 확실히 느껴졌다. 카니발 4세대와 비교해 언덕에서 훨씬 힘을 덜 들이고 쭉쭉 나아갔다. 100km 이상의 고속에서는 팰리세이드의 '엄청난 힘'이 나왔다. 다만 속도가 붙어도 핸들이 묵직해지는 확연한 변화가 없었던 점은 다소 아쉬웠다.
더뉴 팰리세이드는 가격이 오르며 주행보조와 편의사양 등이 추가됐다. 최근 나온 제네시스나 K9, EV6 등에 들어가 있는 '주행보조2(HDA2)'가 적용됐다. 방향지시등을 켜면 알아서 차선을 변경해주는 기능이 추가됐는데, 차가 많지 않은 고속도로 위에서 시연하자 무난하게 작동했다.
다만 HDA의 기본인 '앞차와의 거리 조절' 능력은 아쉬웠다. 카니발 4세대와 비교해봐도, 약간 혼잡한 도로 위에서 저속으로 주행할 때 속도를 줄이는 과정이 매끄럽지 않아 더 많이 덜컥거렸다.
한 시간이 가까이 운전하자 허리디스크 방지를 위한 안마 기능이 저절로 작동했다. 더뉴 팰리세이드에는 스트레칭 모드가 포함된 운전석 에르고 모션시트가 기본 사양으로 들어갔다. 운전을 하며 안마를 받는 느낌이 다소 낯설었지만, 허리에 쌓인 피로감은 확실히 덜어졌다.
엄마의 마음을 사로잡을 디테일은 아쉬운 점들이 꽤 많이 눈에 띄었다. 우선 약 100cm의 4세 아이가 뒷좌석에 장착한 카시트에 앉으면, 앞좌석에 발이 닿는 상황을 피할 수 없어 아쉬웠다.
엄마들이 주로 앉게 되는 뒷좌석의 경우, 안전벨트 위치가 다소 애매해 불편했다. 운전석과 달리 안전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없어 앉는 자세에 따라 안전벨트가 목이나 얼굴 부위를 스쳤다. 평소 '엄마들을 위한 차'로 불리는 카니발 4세대를 탈 때는 느끼지 못했던 불편함이었다.
연비 효율성도 아쉬운 지점이다. 고속도로와 특별히 혼잡하지 않은 도심을 합쳐 약 80km를 달렸는데, 이때 연비가 불과 7.5㎞/ℓ를 기록했다. 하이브리드 등 효율이 높은 차들이 계속 출시되는 상황에서 선뜻 팰리세이드를 선택하기 어렵게 할 것으로 보인다.
3.8 가솔린 모델은 최고출력이 295마력, 최대토크가 36.2㎏.m, 복합연비가 9.3㎞/ℓ다. 2.2 디젤 모델은 202마력, 45㎏.m, 12.4㎞/ℓ다.
가격(개별소비세 3.5% 기준)은 가솔린 3.8 모델의 경우 익스클루시브 3867만원, 프레스티지 4431만원, 캘리그래피 5069만원이다. 기존 모델(3606만~4624만 원)보다 261만~445만원 가격이 올랐다.
▲타깃 :
-카니발보다 힘 좋은 대형 SUV를 찾는 엄마, 아빠들
▲주의할 점 :
--고유가 시대에 시원한 주행을 즐기다 주유비에 '악' 소리 난다
-엄청난 덩치, 아무데나 주차했다간 못 내리기 일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