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코로나 타고 급증한 '비대면 진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입력 2022.05.18 04:58 수정 2022.05.17 22:58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코로나 기간 2020년 150만 건→2021년 219만 건으로 증가…진료앱 30여개 등장

환자 "병원 방문 어려운 상황에 집으로 약 배송까지 해줘 편리해"

의사 "대면 진료와는 큰 차이, 점치는 것과 같다…보완재 역할로만 작용해야"

약사 "약의 오남용 우려, 국민건강 이익 아닌 산업계만 배불려…약 오배송·변질 가능성도"

지난 1월 19일 오후 경기 성남시 성남시의료원 재택치료상황실에서 한 의료진이 코로나19 재택치료 환자와 비대면 진료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 1월 19일 오후 경기 성남시 성남시의료원 재택치료상황실에서 한 의료진이 코로나19 재택치료 환자와 비대면 진료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 2020년 2월부터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가 논란이 되고 있다. 병원에 가기 힘든 상황의 환자들에게는 비대면 진료가 편리하지만, 의료계는 환자를 직접 보고 진찰할 수 없어 정확한 처방을 내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약의 오남용 등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를 포함한 비대면 진료 건수는 2020년 약 150만 건에서 지난해 219만 건으로 46.3% 증가했다. 의료계에서는 재택치료가 기본이 되면서 지난 1분기 누적 비대면 진료 건수가 1000만 건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를 제외한 전화상담·처방 건수는 지난 2월 기준 누적382만 건이었다. 같은 기간 참여 의료기관 수는 3072곳에서 1만3849곳으로, 진료 금액은 13억원에서 599억원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에 가지 않아도 처방전을 받고 약까지 배송 받을 수 있다 보니, 비대면 진료 관련한 어플리케이션도 30여 개나 생겼다. 특히, 병원 방문이 어렵거나 여성질환이나 탈모같이 드러내고 싶지 않은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약을 처방받을 수 있다.


두 아이를 키우는 김모(47)씨는 "아이가 동시에 코로나19에 걸렸는데 혼자서 병원에 데려갈 수가 없는 상황이라 비대면 진료를 이용했다"며 "전화로 증상을 말하고 약까지 처방받았다"고 말했다.


50대 시각장애인 김모씨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병원을 방문할 때 동행인이 동행할 수 있는 시간을 알아봐야 한다"며 "시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등 때문에 많은 불편함을 겪기도 한다"고 전했다. 그는 "만약 비대면 진료가 활성화되면 시각장애인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시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확보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실제 비대면 진료는 의사와 직접 만나지 않는다는 점 외에는 진료 과목에도 차이가 없다. 비대면 진료 앱을 들어가 보면 사후피임약이나 탈모약 등의 처방까지 가능하다고 되어있다. 심지어 약 배송까지 가능하다.


'올라케어(왼쪽)'와 '닥터나우' 비대면 진료 앱 캡쳐화면 '올라케어(왼쪽)'와 '닥터나우' 비대면 진료 앱 캡쳐화면

그러나 의사와 약사 등 의료계는 비대면 진료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환자의 상태를 직접 보고 처방할 수 없어 정확한 처방이 어렵고, 약의 오남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천은미 이대 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비대면 진료는 대면 진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이뤄지는 보완재일 뿐이다"며 "예를 들어, 약을 통해 당을 조절하는 환자가 병원이 없는 섬 지역처럼 병원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의사가 직접 청진과 진찰하지 않고 처방하는 것은 점치는 것과 같다"며 "환자에게 이상이 생길 경우 아무도 책임질 수 없기 때문이다"고 우려했다.


최헌수 대한약사회 대외협력실장은 "편의점에서 상비약 판매가 가능해진 이후 진통제의 판매량이 급증했다. 불필요한 경우까지 복용했다는 의미"라며 "비대면 진료가 활성화되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님에도 약을 복용하게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 건강에 대한 이익보다는 산업계의 이익을 위한 구조가 만들어질까 걱정된다"며 "부수적으로 약의 오배송과 배송 중 변질 가능성도 있다"고 부연했다.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정채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