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외교 수장이 대면 회담을 갖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 문제를 집중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장관의 만남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의 최고위급 회동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방문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11일 왕이 외교부장과 회동했다. 이들 외교 수장이 만난 것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이후 처음이다.
루비오 장관과 왕 부장은 이날 회동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회담 일정을 긴밀히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루비오 장관은 회담이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머지않은 시일에 만날 가능성 크다”면서도 구체적인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왕 부장도 두 정상이 “매우 긍정적인 업무상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며 “양측 모두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러시아 지원 문제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종전을 위해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중재외교에 나선 미국으로서는 중국의 러시아 지원이 방해가 되고 있다고 불평하고 있다. 중국과 대만·남중국해 사이에 불거지고 있는 긴장도 의제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미·중 정상회담은 ‘휴전’ 중인 관세전쟁의 향배를 판가름할 중대 이벤트가 될 전망이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생일이 모두 6월인 점을 들어 ‘6월 정상회담’ 추진 관측이 나왔지만 지난달 중동사태 등 국제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면서 후순위로 밀렸다. 이달 들어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상호관세 서한을 발송하는 등 관세문제가 핵심 의제로 떠오르면서 양국 정상회담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미·중 관세갈등이 완전 해소되지 않고 봉합 상태에 머물고 있는 점도 두 나라 정상회담의 필요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양국은 지난 5월 ‘제네바 합의’로 관세공방을 잠시 멈추기로 한 후에도 반도체와 희토류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조치를 주고받으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