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코로나로 대출만기연장 등 유동성 지원 필요"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입력 2021.02.26 10:51  수정 2021.02.26 10:51

중기중앙회 '코로나19 중소기업 유동성 위기 지원방안' 이슈리포트

코로나19로 인한 경영상 피해 중소기업 설문조사ⓒ중기중앙회

중소기업계가 코로나발 유동성 극복을 위해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추가연장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내달 종료되는 중소기업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조치의 추가연장 관련 전문가 이슈리포트 '코로나19 중소기업 유동성 위기 지원방안 보고서'를 통해 26일 이같이 밝혔다.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조치는 지난해 4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이 같은 조치는 코로나 위기 극복은 물론 일시적 유동성 애로 해소를 통한 리스크 차단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곽동철 한남대학교 교수는 이번 이슈리포트를 통해 "2008년 금융위기시에는 고성장국면에서 위기를 맞아 충격 이후 강한 상승복원력이 존재했으나 지난해 코로나19 위기의 경우, 저성장·저금리·저물가 등 3저 국면으로 회복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소기업 매출 증가·감소군의 신용등급 분포 분석 결과, 분포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매출감소에 있어 개별기업의 특성보다 경기공통요인이 더욱 강하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저신용·고신용 기업 모두 코로나발 매출감소 위험에 노출돼있다는 분석이다.


국가별 정책 지원과 관련해선 과감하고 신속한 금융지원 정책 시행,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중소기업 원격 경영과 혁신기업 지원 병행, 포스트 코로나 대비 수출 다변화와 인적자원 경쟁력 교육 노력 등을 주요 특징으로 제시했다.


특히 중소기업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추가연장과 더불어 정부보증을 활용한 한국식 PPP 지원정책 도입, 금융기관 대출(보증)시 별도의 중소기업 신용평가기준 마련 등을 정책과제로 제안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국가적 재난사태로 중소 기업과 소상공인은 어느 때보다 어려운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추가연장을 통해 중소기업 유동성 위기 극복과 우량기업 흑자도산을 막을 수 있도록 금융당국의 선제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