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현장] 6억 미만 서민(?) 아파트, 노원구에서도 씨가 말랐다


입력 2020.06.16 06:00 수정 2020.06.15 17:16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전용60㎡ 기준 호가 6억 이상으로 급등…매물도 부족

정부 추가 규제 시사…시장 “또 다른 풍선효과 가져올 뿐 비난”

노원구 상계주공6단지 아파트 ⓒ김희정 기자 노원구 상계주공6단지 아파트 ⓒ김희정 기자


"노원구 일대에서 전용60 기준 6억 이하 매물은 점점 더 찾기 힘들겁니다. 매매문의는 많지만 보시다시피 매물이 없어요."(노원역 인근 A공인중개소 대표)


지난 15일 찾은 노원구의 대표적인 아파트 밀집지역인 상계주공아파트 1~6단지 일대. 1년 전만 해도 전용60㎡(24평)가 5억원 전후에 거래됐지만 현재는 6억5000만~7억원 이상으로 호가가 올랐다.


단지는 80% 이상이 소형평수로 구성됐다. 그나마 인기있는 전용60㎡·84㎡는 매물도 찾기어렵다. 대로변 하나를 두고 위치한 노원역 6번출구쪽 1·2·3단지와 5번출구쪽 4·5·6단지 모두 상황은 비슷했다.


인근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특히 수요가 많은 3·5·6단지 로열층 매물은 일대 공인중개소를 모두 합쳐도 각각 2~3개밖에 나오지 않았다”고 귀띔했다.


노원구 상계주공3단지 아파트 ⓒ김희정 기자 노원구 상계주공3단지 아파트 ⓒ김희정 기자

대표적 서민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손꼽히던 노원구에서도 중저가아파트가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강남권 고가주택을 겨냥해 각종 규제를 가하자 비강남권의 규제가 느슨한 중저가 아파트로 수요가 몰려 ‘풍선효과’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상계주공 5단지 전용31㎡(11평·2층) 매물은 이달 5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1년 전 거래된 5건의 매물이 모두 4억5000만~4억6000만원에 거래된 것을 보면 정확하게 1억원 가량이 올랐다.


상계주공6단지 전용58㎡(24평) 매물은 지난달 6억1800만원(6층), 6억1000만원(13층)에 실거래됐다. 이 단지에서 매매가가 6억원이 넘은 것은 올해들어 처음이다. 1년 전에는 4억2000만~4억8000만원 사이에서, 올해 초만 하더라도 5억2000만원에 실거래됐다. 현재 호가는 6억5000만원 전후로 형성됐다.


상계주공 5·6단지는 이 지역 아파트값을 이끌어가는 일종의 대장주 역할을 한다. 6단지 인근 공인중개소 관계자에 따르면 상계주공 5·6단지는 4호선과 7호선이 모두 가까운 교통의 요지로 노원구에서 최고 노른자 단지로 손꼽힌다.


그러나 GTX-C노선 호재로 지난해부터는 상계주공 3단지가 급부상했다. 매매가 6억원을 넘어선 것도 3단지가 먼저였다. 지난해 6월 5억원 수준에서 실거래 된 전용58㎡ 매물은 올해 1월 6억원을 기록하더니 지난 5월에는 6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현재 호가는 7억원 전후로 형성됐다.


노원역 인근 공인중개소에 아파트 매물이 붙어있다. ⓒ김희정 기자 노원역 인근 공인중개소에 아파트 매물이 붙어있다. ⓒ김희정 기자

상계동 뿐 아니라 중계동 주공아파트, 월계동의 롯데캐슬루나와 미륭·미성·삼호3차 아파트 등 노원구 일대 아파트는 1년 사이 최소 1억에서 2억원까지 매매가가 올랐다.


월계동 롯데캐슬루나 인근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전용60㎡는 일찌감치 매매가 6억원을 넘어섰고, 전용84㎡도 지난달 7억 후반에 실거래돼 이제 호가 8억원을 부르는 집주인들이 나오고 있다”며 “이제 노원구도 서민 아파트 밀집지역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는 9억원 이하 중저가 주택에 대해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추가 규제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노원역 인근 A공인중개소 대표는 “중저가 주택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 단기적으로 시장 음 움츠러들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수요자들은 규제가 없는 지역을 찾아 또 집값을 올려놓을 것이고, 결국 또다른 풍선효과만 가져오는 것이 아니냐”고 말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아파트 수요에 비해 공급이 귀해 결국 중저가 주택 가격이 오르고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라며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추가규제를 하는 기존 정책에서 벗어나 공급 늘리며 수요를 분산하는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