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국내 시간제 근로자 10년새 49%↑...고용의 질 나빠져"


입력 2020.03.23 15:50 수정 2020.03.23 15:50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한경연, '3050클럽' 7개국 분석...日27%·佛12%·美8%↑

3050클럽 7개국 시간제근로자 연평균 증가율 및 비중 증감.ⓒ한국경제연구원 3050클럽 7개국 시간제근로자 연평균 증가율 및 비중 증감.ⓒ한국경제연구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간 국내 시간제 근로자가 49% 증가하는 등 다른 주요국들에 비해 한국의 고용 질이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2008∼201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노동력 통계를 활용해 '3050클럽'에 속한 7개국의 주 30시간 미만의 시간제 근로자 고용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국내 주 30시간 미만 시간제 근로자는 지난 2018년 기준 322만3000명으로 10년 전인 2008년 216만9000명에서 48.6%(105만4000명) 급증했다. 시간제 근로자는 대부분 비정규직 노동자로 분류된다.


'3050클럽'은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를 뜻하며 한국을 비롯해 일본·미국·프랑스·이탈리아·독일·영국 등 7개국이 해당한다. 한국의 증가율은 '3050클럽' 국가 평균 증가율(14.9%)의 3배가 넘는 수치로 한국은 이들 7개국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일본이 26.6%(1220만명→1544만명)로 한국과 함께 평균을 웃돌았고 이어 이탈리아(13.3%·364만6000명→413만명), 프랑스(12.3%·332만명→372만9000명), 영국(9.9%·659만7000명→724만9000명), 독일(9.5%·839만6000명→919만4000명), 미국(7.5%·1649만8000명→1772만9000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로 보면 한국이 4.0%로 가장 높았고 일본(2.4%), 이탈리아(1.3%), 프랑스(1.2%), 영국·독일(이상 0.9%), 미국(0.7%) 등이었다.


전체 근로자에서 시간제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한국이 지난 2008년 9.3%에서 2018년 12.2%로 2.9%포인트 증가해 두 번째로 증가 폭이 컸다. 이는 7개국 평균 증가 폭(1.2%포인트)의 2.4배에 달하는 것이다.


같은 기간 일본이 4.3%포인트(19.6%→23.9%) 늘어나 한국보다 유일하게 증가 폭이 컸고 이탈리아 2.0%포인트(16.0%→18.0%), 프랑스 1.0%포인트(13.0%→14.0%), 독일 0.2%포인트(21.8%→22.0%), 영국 0.2%포인트(23.0%→23.2%) 등의 순이었다. 미국이 유일하게 12.8%에서 12.7%로 0.1%포인트 감소했다.


한경연은 한국의 시간제 근로자 수가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한 이유로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 증가와 고용 경직성, 기업의 고용 여력 위축 등을 꼽았다. 또 코로나19로 고용의 양과 질 측면에서 급격한 동반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최저임금 동결 등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최저임금 급증에 따른 사업주의 인건비 부담 가중 및 재정일자리 확대 등으로 인해 단시간 근로자 증가 속도가 주요국보다 현저하게 빠르다”며 “기업의 생산성과 지불능력 등을 고려한 최저임금 결정이 필요하고 규제완화 등을 통한 기업 활력 부여로 민간의 고용창출여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