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돈맥경화' 케이뱅크 기사회생…KT 실탄 지원 가능성 커져


입력 2020.03.05 08:00 수정 2020.03.10 15:56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인터넷銀 개정안 법사위 통과…KT 대주주 길 열릴까

자금 공금 숨통 기대…차기 행장 인선에도 속도 날듯

자금 수혈 통로가 막히며 위기에 몰렸던 케이뱅크가 기사회생했다.ⓒ케이뱅크 자금 수혈 통로가 막히며 위기에 몰렸던 케이뱅크가 기사회생했다.ⓒ케이뱅크

자금 수혈 통로가 막히며 위기에 몰렸던 케이뱅크가 기사회생했다. 케이뱅크의 명운을 쥔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 개정안이 마침내 국회를 통과할 수 있게 되면서다. 이로써 KT로부터의 실탄 지원 가능성이 열리면서 케이뱅크의 경영 정상화에 다시 시동이 걸릴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차기 행장 인선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고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통과시켰다. 법사위에서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이날 열리는 본회의에서도 법안이 최종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해당 개정안은 사실상 존폐 위기에 놓여 있었다. 국회 일정 상 이번에도 법사위의 벽을 넘지 못할 경우 총선 전 통과가 불가능해지면서, 20대 국회에서는 추가 논의의 기회를 가질 수 없는 상황이었던 탓이다. 지난해 11월 말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했지만, 특정 기업에 특혜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지금까지 법사위를 넘지 못해 왔다.


개정안의 골자는 인터넷은행 대주주 심사 시 공정거래법 등 금융 규제와 관계없는 법 위반 여부를 따지지 않겠다는데 있다. 즉,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기업이라도 인터넷은행 대주주가 될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


여기에 케이뱅크가 목을 맬 수밖에 없었던 이로 인해 핵심 주주인 KT의 손발이 묶여 있었기 때문이다. 케이뱅크 주주들은 KT를 대주주로 올리고 이를 중심으로 약 59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었다. 이에 KT는 지난해 3월 케이뱅크의 지분을 34%로 늘리겠다며 금융위원회에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신청했다. 그런데 KT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다는 이유로 금융위원회가 심사를 중단하면서 상황이 꼬이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KT를 통한 자본 조달이 막히면서 최근 케이뱅크는 난관에 봉착했다. 자본금이 빠르게 줄어들면서 지난해 4월부터 일부 대출 판매가 중단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현재는 예·적금담보대출을 제외한 모든 신규 대출이 전면 중단되며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돌입해야 했다.


하지만 이런 족쇄를 푸는 개정안이 그늘에서 벗어나게 되면서 케이뱅크는 다시 한 번 경영 정상화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정대로 KT가 지분을 늘리며 케이뱅크에 자금 수혈이 이뤄지면 무난히 대출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란 평이다.


아울러 주주 구도가 명확해지면서 미궁 속에 빠져 있던 행장 인사도 본격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뱅크는 지난 26일 첫 임원후보추천위원회 회의를 열고 차기 행장 후보군에 대한 논의에 나섰다. 심성훈 현 행장의 공식 임기는 이번 달 말 열릴 주주총회까지다.


당초 금융권에서는 내부 인물인 옥성환 경영기획본부장과 안효조 사업총괄본부장, 김도완 ICT총괄본부장 등이 새 케이뱅크 행장 하마평에 올랐다. 또 현재 케이뱅크에 불거진 문제가 은행장의 개인의 경영 능력이 아닌 외부요인에 따른 것인 만큼, 심 행장의 연임 가능성을 배제해선 안 된다는 견해도 나온다.


그럼에도 좀 더 유력한 주장은 외부 인사 선임 가능성이다. 특히 1대 주주로 올라서겠다는 의중이 확고한 KT가 차기 행장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KT 추천 인사로는 KT 금융 계열사인 비씨카드를 이끌던 이문환 전 사장과 케이뱅크 출범을 이끌었던 김인회 KT 전 사장이 거론된다.


이럴 경우 지난해 말 KT의 새 수장이 된 구현모 사장의 임기 초 주요 이벤트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눈길이 쏠린다. 케이뱅크의 핵심 투자자인 KT로서는 인터넷은행 사업 자체의 정상화도 중요하다. 더불어 본업인 이동통신에서의 실적 부진을 타개할 비(非)통신 분야의 대표로 케이뱅크가 성장해주길 기대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단지 케이뱅크의 처지뿐 아니라, 혁신금융의 핵심인 인터넷은행이 제대로 메기효과를 이끌어줘야 한다는 면에서도 이번 개정안 통과를 지지하는 목소리가 컸다"며 "인터넷은행 제도를 도입한 이상 더욱 적극적인 육성 정책이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