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한 건당 최대 30만원" 보험업계 개인정보 매매 천태만상


입력 2018.12.03 06:00 수정 2018.12.03 06:01        부광우 기자

"비싸더라도 검증된 정보 찾아라" 영업현장 실태 심각

당사자는 물론 기존 보험 고객들까지 잠재적 피해 우려

"비싸더라도 검증된 정보 찾아라" 영업현장 실태 심각
당사자는 물론 기존 보험 고객들까지 잠재적 피해 우려


보험 영업 현장의 음성적인 고객 정보 매매가 더욱 극성을 부리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보험 영업 현장의 음성적인 고객 정보 매매가 더욱 극성을 부리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보험 영업 현장의 음성적인 고객 정보 매매가 더욱 극성을 부리고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고소득 전문직 소비자의 개인정보 가격이 한 건당 30만원을 호가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신도 모르는 사이 개인정보가 새 나간 고객은 물론 기존 보험 가입자들까지 잠재적인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보험 영업시장에서 고객 개인정보의 건당 매매 가격은 계속 오르는 추세다. 특히 요즘에는 이른바 검증된 개인정보에 차별화된 단가를 매기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보험 설계사들이 과거에는 싼 값에 대량의 고객정보를 확보하는 일이 보통이었다면 지금은 좀 더 많은 돈을 지불해서라도 상품 판매가 용이한 고객들의 정보를 확보하길 원한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인터넷 광고나 홈쇼핑 등을 통해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한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는 무작위로 수집된 것보다 높은 대우를 받는다. 그 중에서 보험 설계사가 구매한 개인정보의 고객을 대상으로 실제 상품 판매에 성공하더라도 이에 따른 수당을 고객 정보 제공자에게 나누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한 건당 10만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해당 소비자가 전문직이나 고소득자라면 세 배에 가까운 프리미엄이 붙기도 한다.

보험 영업 현장에서 이 같은 고객 정보를 활용한 영업은 사실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런데 국내 보험 시장이 사실상 과포화 상태에 빠지고 이에 따라 영업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면서 조금이라도 가입자를 더 유치하기 위한 방법을 찾다보니 이처럼 물밑에서 고객 정보를 사고파는 일이 더욱 극성을 부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이런 물밑 거래가 늘어날수록 개인정보가 유출된 소비자들만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이다. 시도 때도 없이 걸려오는 보험 판촉 전화에 따른 성가심은 물론, 본인이 인지하지도 못하는 사이 개인정보를 악용하려는 이들의 손에까지 넘어갈 지도 모른다는 불안은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단순히 이런 거북함을 넘어 보험업계에 만연한 개인정보 거래는 위법 소지도 다분하다. 개인정보보호법 상 본인의 동의를 얻지 않은 개인정보 거래는 엄연히 불법이다. 어떤 형식으로든 고객의 동의 등을 거쳐 획득한 정보라면 당사자는 이를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곳으로 돈을 받고 팔았다면 처벌 대상이다.

좀 더 넓게 보면 개인정보가 팔려나간 소비자뿐 아니라 이와 무관해 보이는 기존 보험 가입자들에게도 이런 현실은 달갑지 않은 소식이 될 수 있다. 설계사들이 고객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돈을 쓴다는 것은 그 만큼 보험 판매 과정에서 새는 비용이 과하게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또 이렇게 영업에 나선 설계사들로서는 아무래도 가입자의 보장보다 자신이 많은 판매 수당을 받는데 유리한 상품을 고객에게 권할 개연성이 커지게 된다. 이들이 받는 판매 수당은 보험사 입장에서 사업비 지출에 해당하는데, 이 금액이 늘수록 가입자들을 위한 보장보다 고객 유치나 유지에 쓰는 돈이 불어난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보험사들의 사업비 증가는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보험료 상승의 주요 잠재 요인으로 꼽힌다. 결국 보험사의 사업비 씀씀이가 커질수록 기존 고객에게는 불리한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일단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보해야 영업이 가능한 보험 영업의 특성 상 설계사들에게 고객정보 매매는 위험을 알면서도 유혹을 느낄 수밖에 없는 관행이 됐다"며 "법률적 문제부터 보험 산업 전반의 구조에 이르기까지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정행위임에도 과열되는 경쟁 탓에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지는 않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