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스포츠 전문 ESPN에는 사이영 프리딕터(Cy Young Predictor)라는 항목이 있다. 말 그대로 투수의 여러 기록들을 모은 뒤 이를 점수로 환산, 사이영상 수상자를 예측한다는 뜻이다.
세이버 매트릭스의 대부 빌 제임스가 고안한 CYP는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계산법을 지닌다. 공식은 {(5*이닝수/9)-자책점}+(탈삼진/12)+(세이브*2.5)+완봉+{(승*6)-(패*2)}+VB로 이뤄진다. VB(Victory Bonus)는 소속팀이 지구 1위에 올라있을 경우 주어지는 12점의 가산점이다.
완벽하지 않지만 사이영 프리딕터는 그동안 실제 사이영상 수상자들을 제법 높은 확률로 맞혔다. 서비스가 제공된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13년간 26명의 수상자 중 19명을 맞혔고, 적중률은 73%였다.
틀린 경우는 2003년 로이 할러데이, 2004년 로저 클레멘스, 2005년 바톨로 콜론, 2006년 브렌든 웹, 2009년 잭 그레인키, 팀 린스컴, 2010년 펠릭스 에르난데스 등 7명의 수상자들이다. 이들보다 순위가 높았던 대부분의 투수들은 마무리 투수들이 주를 이뤘다. 이렇듯 사이영 프리딕터는 마무리 투수의 비중도 높게 평가한다.
물론 CYP를 곧이곧대로 믿어서는 곤란하다. 공식 자체가 완벽하지 않을뿐더러 메이저리그에서도 실제 사이영상 투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세이버 매트릭스의 발전으로 투수들을 평가하는 지표들은 더욱 다양해지고 세분화됐다. 즉, CYP의 항목인 다승과 이닝, 탈삼진, ERA만 갖고 투수를 평가하는 시대는 이미 지난 지 오래다.
이 공식을 KBO리그에 대입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다만 VB의 경우 1~3위팀(삼성, NC, 넥센)에게만 부여했다. 메이저리그는 디비전시리즈 진출이 확정되는 각 지구 1위 팀에게만 주어지며, 와일드카드 결정을 치러야 하는 팀에는 가산점이 붙지 않는다. KBO리그 역시 올 시즌부터 4~5위팀들 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도입돼 이들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지 않았다.
사이영 프리딕터에 의한 올 시즌 KBO리그 최고 투수는 NC 외국인 투수 에릭 해커다. 해커는 올 시즌 18승 5패 평균자책점 3.21로 순항 중이다. 최근 페이스가 다소 주춤하지만 7~8월 무시무시한 공을 던졌고 이 기간 7승을 쓸어 담았다. 여기에 팀 성적에 의한 가산점까지 챙기며 162.39점을 획득했다.
2위는 해커와 다승왕 경쟁을 펼치고 있는 두산 유희관(144.94점)이다. 유희관은 삼진 부문을 제외하면 놀랍도록 해커의 성적과 닮아있다. 다만 대부분의 지표에서 해커에 2% 부족하다는 점이 아쉽다.
올 시즌 KBO리그 CYP 순위. ⓒ 데일리안 스포츠
마무리 투수 가운데서는 삼성 임창용이 단연 1위다. 불혹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부진을 완벽하게 씻어낸 임창용은 가장 먼저 30세이브 고지를 밟으며 10개 구단 중 가장 안정적인 마무리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임창용의 CYP는 135.51로 KIA 선발 양현종(133.63)보다도 높다.
SK 정우람(93.19점)은 가산점을 받은 NC 임창민(92.31점)에 앞선다. 특히 시즌 중반 셋업맨에서 마무리로 보직 이동하느라 세이브 숫자(16세이브)는 적지만 엄청난 삼진 능력으로 점수를 쌓을 수 있었다.
시즌 내내 혹사 논란에 시달리고 있는 한화 권혁(78.39점)은 전반기만 해도 구원 투수 부문 1위를 달리고 있었지만 후반기 부진한 투구로 점수를 잃은 케이스다. 특히 109이닝이라는 믿기지 않는 누적 이닝이 다른 팀 마무리들에 비해 2배나 많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렇다면 CYP 지표가 최고 투수에게 주어지는 골든글러브 수상자도 잘 맞혔을까. 일단 2005년(롯데 손민한)부터 2006년(한화 류현진), 2007년(두산 리오스), 2008년(SK 김광현), 2009년(KIA 로페즈), 2010년(한화 류현진), 2011년(KIA 윤석민)은 모두 적중했다. 그리고 지난해 밴헤켄도 그대로 들어맞았다. 이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이는 20승 고지를 밟았던 리오스였다.
다만 2012년과 2013년 수상자는 실제와 거리가 멀었다. 2012년 최고 점수를 받은 투수는 162.43점의 넥센 나이트였다. 하지만 골든글러브 수상자는 가산점 12점을 더하고도 나이트에 크게 못 미친 삼성 장원삼(137.81점)이었다. 외국인 선수에 대한 차별이 단적으로 드러난 예라 할 수 있다.
2013년 골든글러브는 넥센 마무리 손승락에게 돌아갔다. 당시 구원왕이었던 손승락은 여타 선발 투수들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수상 자격이 충분했다. 하지만 당시 최고 점수의 주인공은 손승락이 아닌 LG 봉중근이었다. 봉중근은 그해 손승락보다 위력적인 공을 뿌렸지만 타이틀이 없다는 점이 골든글러브 투표에서 불리하게 작용했다.
올 시즌 골든글러브 수상 여부는 사실상 해커와 유희관의 2파전으로 모아지고 있다. 비단 CYP가 아니더라도 모든 부분에서 해커가 앞서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2012년 나이트-장원삼 사례에서 보듯 기자단 투표는 국내 선수에게 추가 기우는 게 사실이다. 최고를 최고로 인정해주지 않는 촌극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은 올 시즌이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