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한국현대사학회 토론회서 권희영 교수, 7종 교과서 비판
“사학을 연구하는 시각이 운동권에만 머물면 사실을 볼수가 없다.”
오일환 보훈교육연구원장은 12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기독교연합회관에서 한국현대사학회 주최로 열린 ‘8종 역사교과서 비교 분석 세미나’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오 원장은 “좌파시각에서 연구를 한 사람 중에도 현재는 우파의 입장이 된 사람이 있다. 그만큼 끊임없이 공부한 사람은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서 함께 변해갈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특정이론에 붙박여 그 이론만 공부한다면 이미 한 쪽에 붙들려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 원장은 이어 “사학을 연구하는 시각이 운동권에만 있다면, 역사를 사실이 아닌 (특정세력을) 변호하는 입장에만 머물게 된다”며 “우선 정치적 편견에서 벗어나야 하고, 중립적 입장에서 학문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피를 흘리면서 민주화를 이룩한 위대한 민족인데, 거짓 위에 역사를 써나가게 해선 안되다”며 “이를 깨는 것이 비판정신이다. 북한에도 이런 비판정신이 들어간다면 오의 이런 논란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춘규 바른역사국민연합 대표는 “현재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상황을 보면, 좌파들의 공세로 인해 교학사 교과서는 형편없는 교과서로 생각하게 됐고, 심지어 우리들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까지 ‘교학사 교과서는 엉망’이라며 동참하기를 꺼려하고 있다”며 “이는 좌파가 호도된 인식을 심어줬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이어 “교학사 교과서가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교과서로 수정되어 공정한 입장의 한국사 교과서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교학사 교과서를 널리 홍보하고 채택률을 높이는데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