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교총이 '한국사 수능 필수화'에 찬성 입장을 밝히고 캠페인을 시작하자 지난 1일 전교조가 반대성명을 제출해 양측의 팽팽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뉴스Y 영상 캡처
한국사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필수과목 지정 여부를 두고 교총과 전교조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지난달 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은 한국사 수능 필수화에 대한 찬성 입장을 표명하며 이를 정부와의 교섭 내용에 포함시켰다.
지난달 29일부터 캠페인을 시작한 교총은 “현행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활용하거나 별도의 한국사시험을 만드는 것은 또다시 사교육을 조장하는 것이고 불합격 난이도를 조정해야 하는 등 문제가 있다”며 “한국사를 수능 사회탐구영역의 선택과목이 아니라 필수과목으로 채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1일 당정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한국사의 수능 필수화를 반대한다”며 “학생들의 끼와 꿈을 살리는 정책을 펴겠다고 해놓고 입시 위주로 한국사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평가 중심의 수업 방식은 역사 수업을 지식교육 일변도로 왜곡할 것”이라며 수능 필수 과목화에 앞서 교육 내용과 수업 방식이 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국영수 위주의 입시과목 편중 문제를 그냥 놔둔 채 한국사 논쟁을 벌이는 것은 협소한 교과시수를 놓고 소외교과 간의 진흙탕 싸움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입시정책 전반의 근본적인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역사 과목을 평가 기준에 넣어 어떻게 해서든 성적에 반영시켜야 한다”고 밝혔고, 이에 정부와 새누리당이 지난 30일 회의를 열어 어떤 방식으로든 국사 과목을 반영키로 의견을 모은 바 있다.
한편 당정은 이에 관련 4가지 방안(국사의 수능 필수과목화, 한국사 표준화시험과 대입자격 연계, 대입전형 자료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결과 활용, 한국사 표준화시험 시행)을 두고 8월 말까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