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바현 이치하라시 ESS 발전소 착공
일본서 풀 밸류체인 사업 모델 가동
LS일렉트릭은 지난 27일 일본 치바현 이치하라시에서 PCS(전력변환장치) 2MW(메가와트)급 배터리 8MWh(메가와트시) 규모 계통연계 ESS 발전소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일본 사이타마현 히키군 ESS 발전소에 설치된 LS일렉트릭의 ESSⓒLS일렉트릭
LS일렉트릭이 일본에서 직접 투자까지 참여하는 첫 계통연계 ESS(에너지저장장치) 발전소를 착공하며 현지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단순 EPC(설계·조달·시공)·운영을 넘어 투자·전력거래까지 포괄하는 ‘풀 밸류체인(Full Value Chain)’ 사업 모델을 일본에서 가동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S일렉트릭은 27일 일본 치바현 이치하라시에서 PCS(전력변환장치) 2MW, 배터리 8MWh 규모의 계통연계 ESS 발전소 기공식을 열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ESS는 전력망에 연계해 잉여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 시 공급하는 구조로, 변동성이 큰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안정화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LS일렉트릭은 PCS 등 핵심 전력기기 공급은 물론, 효율적 전력 운영을 위한 EMS(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까지 맡는다. 회사는 일본에서 축적한 구축 경험을 기반으로 이번에는 직접 투자와 운영까지 포함해 사업 참여 범위를 대폭 확대했다.
그간 글로벌 ESS 시장은 금융기관·전력회사·투자펀드 등이 자본을 대고, 전력기기 업체는 EPC와 O&M(운영·유지보수)에 집중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LS일렉트릭의 직접 투자 참여는 일본 ESS 시장에서 사업적 역할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적 시도로 풀이된다.
일본 ESS 시장은 FIP(발전차액정산제)·VPP(가상발전소) 확산과 함께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36~38%까지 끌어올리려 하면서, ESS 설치비 보조 정책도 확대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일본에서 꾸준히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입지를 넓혀왔다. 지난 4월에는 미야기현 와타리 지역에서 한국 기업이 일본에서 수행한 사업 중 가장 큰 규모인 20MW·90MWh 계통연계 ESS 프로젝트를 따냈고, 2022년에는 홋카이도와 규슈 지역에 최초의 계통연계 ESS 발전소를 구축했다. 도쿄 ESS 보조금 사업에서도 절반 이상을 수주하며 PCS 공급 역량을 입증했다.
조욱동 LS일렉트릭 전무는 “이번 프로젝트는 LS일렉트릭이 일본 전력 시장에 직접 참여하는 첫 걸음”이라며 “일본 내 다수 ESS 구축 경험을 기반으로 현지에서 투자·운영·전력거래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며 성장하는 일본 ESS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