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 3·4세 전면에...3인 부회장 체제 완성
“정유·석화 어려움 속 강력한 책임 부여”
허용수GS에너지 부회장(왼쪽)과 허세홍GS칼텍스 부회장.ⓒGS그룹
GS그룹이 에너지 사업의 구조 전환기에 맞춰 오너 3·4세 경영권을 전면에 배치했다. 오너가 3, 4세인 GS에너지 허용수 사장과 GS칼텍스 허세홍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하며 ㈜홍순기 GS 부회장과 함께 ‘3인 부회장 체제’를 구축했다. 정유·석유화학 부문 수익성 하락과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흐름 속에서 책임 경영을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GS그룹은 26일 부회장 승진 2명, 대표이사 선임 9명(승진 3명 포함), 사장 승진 2명, 부사장 4명, 전무 5명, 상무 18명 등 총 38명에 대한 2026년도 임원 인사를 발표했다. 계열사 대표단에 1970년대생이 대거 올라서며 그룹 수뇌부 세대교체도 병행됐다.
허용수 부회장은 고(故) 허만정 창업주의 5남인 고 허완구 승산그룹 회장의 아들이다. GS에너지 에너지·자원사업본부장, GS EPS 대표이사를 거쳐 2019년부터 GS에너지 대표이사로 있다. 위드인천에너지 인수와 전기차 충전 자회사 ‘GS차지비’ 출범 등을 이끌어 왔다.
허세홍 부회장은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의 장남으로, GS칼텍스 싱가포르법인장, 석유화학·윤활유사업본부장 등을 거쳐 2019년부터 GS칼텍스 대표이사로서 제품 포트폴리오 개편과 정유·석유화학 사업 체질 개선을 주도했다.
이들은 지난해 승진한 ㈜GS 홍순기 부회장과 함께 허태수 회장 중심의 미래 사업 혁신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GS는 이번 부회장 승진 인사에 대해 “허용수 부회장과 허세홍 부회장은 GS그룹의 핵심 사업군인 에너지와 정유·석유화학 분야에서 미래 에너지 전환 시대의 대응을 진두지휘해 왔다”면서 “이번 부회장 선임은 에너지 산업 전반의 구조 개편이 임박했고 글로벌 정유·석유화학 사업의 어려움도 극복해야 하는 시점에서 강력한 책임을 부여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대표이사급에서도 굵직한 변화가 이어진 가운데 70년대생 젊은 리더들이 대거 내정된 것도 특징이다.
GS글로벌의 신임 대표에는GSE&R의 김성원 대표이사 부사장(1970년생)이 사장으로 승진해 이동하고,GS글로벌의 기획·신사업본부장 허철홍 부사장(1979년생)은 GS엔텍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허철홍 부사장은 허창수 명예회장의 동생이자 허태수 현 회장의 형인 허정수GS네오텍 회장의 장남이기도 하다.
허진수 GS칼텍스 고문의 아들 허진홍 GS건설 상무는 부사장으로, 허명수 GS건설 고문의 아들 허태홍GS퓨처스 상무는 전무로 각각 승진했다. GS동해전력의 황병소 대표이사 전무(1969년생)는 부사장으로 승진 후 GSE&R 대표이사를 맡는다. 파르나스 호텔 등을 거느리는 중간 지주사GSP&L에는 박민수 대표(1970년생), GS건설 산하 자이C&A에는 김욱수 대표(1969년생)가 내정돼 계열사 지휘부가 폭넓게 재편됐다.
GS는 모회사 인력을 자회사로 대폭 이동시켜 현장 의사결정 속도를 높인 점도 강조했다. 본부와 사업부, 본사와 자회사 간 거리를 좁혀 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GS에너지 은종원 상무가 GS에너지 산하 보령LNG터미널로 이동했고 GS리테일 장준수 상무가 GS리테일 자회사인 GS네트웍스로 옮겼다. GS글로벌 허철홍 부사장과 이승엽 상무는 각각 GS엔텍 대표이사와 영업본부장으로, GS건설 김욱수 상무는 자이C&A의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배치됐다.
정유·석유화학 생산·운영과 안전관리에 정통한 김성민 GS칼텍스 사장, 20여년간 건축·주택사업 실무 경험을 쌓아온 김완수 GS건설 부사장 등 실무 역량 기반의 승진도 눈에 띈다.
허태수 회장은 “거대한 사업 환경 변화 앞에서 관행에 기대면 설 자리가 없을 것”이라며 “사업 혁신을 지속하고 과감한 도전 과제를 실행할 책임을 부여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