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말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562억 달러로, 직전 분기 대비 258억 달러 증가했다.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대외지급능력을 의미하는 순대외금융자산이 3분기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562억 달러로, 직전 분기 대비 258억 달러 증가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값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 투자하거나 빌려준 돈에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투자하거나 빌려준 돈을 뺀 것이다.
쉽게 말해 우리나라의 대외 건전성과 경제적 체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순대외금융자산은 올 들어 하락세를 이어가다 3분기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대외금융자산이 부채의 증가폭보다 더 커진 영향이다.
대외금융자산은 거주자의 증권투자(890억 달러)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1158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거주자의 해외 직접투자는 2차전지 업종 중심으로 전분기 말 대비 87억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지분증권을 중심으로 890억 달러 늘어 대외자산 증가를 견인했다. 미국 주가 상승으로 인한 해외 주식투자가 늘어나면서다.
대외금융부채는 3분기 말 기준 1조7414억 달러로 전분기 말보다 900억 달러 늘었다.
국내 주가가 상승하면서 외국인 증권투자 위주로 증가했다.
외국인 증권투자는 1조1395억 달러로 전분기 말 대비 885억 달러 늘었다.
다만 직접투자는 거래요인은 소폭 증가했지만 원화약세 영향으로 37억 달러 감소해 3135억 달러를 기록했다.
순대외채권은 3818억 달러로 전분기 말 보다 246억 달러 증가했다. 증가폭으로 보면 역대 2위 수준이다.
대외채권은 1조1199억 달러로 전분기 말 대비 271억 달러 늘었다.
만기별로 단기 대외채권은 중앙은행 준비자산 중심으로 189억 달러 증가했다.
장기 대외채권은 부채성증권을 중심으로 82억 달러 증가했다.
대외채무는 7381억 달러로 25억 달러 증가했다.
단기외채는 차익거래유인 축소로 감소했고, 장기외채는 채무상품직접투자 중심으로 증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