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에너지연, 제6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엄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입력 2025.11.18 13:30  수정 2025.11.18 13:30

2035 NDC 달성 위한 수소기술 논의

기업·출연연 수소 R&D 성과 공유

수소 전주기 기술혁신 전략 논의

제6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엄 포스터.ⓒ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에 필요한 핵심 요소인 수소기술 역할과 기술혁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제6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2035 NDC는 2018년 대비 53~61%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률을 목표로, 2030 NDC에서의 감축률 40%보다 강화됐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력, 산업, 수송 등 다양한 부문에서 화석연료 중심의 기존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수소는 재생에너지와 수전해 기술을 이용해 온실가스 배출 없이 생산할 수 있고 연소(소비) 과정에서도 수증기만 배출하므로 수소 연료전지(전력), 수소 환원제철(산업), 수소차·수소선박(수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돼 무탄소·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중심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수소 관련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5개소를 지정하고 오는 2029년까지 약 1190억원을 투입해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개발과 수소 생산효율 개선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9월에는 개발된 수소기술이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업과 긴밀하게 협력하는 청정수소 R&D 혁신 연합을 출범해 운영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과기정통부와 국내 수소 관련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해 기후위기 대응,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 수행과 2035 NDC의 원활한 이행 측면에서 수소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생산-저장-활용 등 수소 전주기 기술개발 방향 도출을 위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심포지엄의 1부에는 학계·연구계 전문가들이 2035 NDC 관점에서 수소의 역할과 수소 분야 대내외 환경에 대해 기조 강연을 진행하고 주요국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 활용 사례와 수소 교역 확대에 따른 국제통상질서 변화를 살펴봤다. 이를 통해 수소가 2035 NDC 달성과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중요한 전략 자원임을 확인했다.


2부에는 중점연구실 운영 출연연과 혁신 연합 참여 기업에서 수전해, 수소 연료전지, 수소저장합금 등 다양한 분야의 수소기술 R&D 성과를 소개하고 산·학·연 수소기술 전문가들이 2035 NDC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수소 생산-저장-활용 분야 간 기술 연계 방안과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김성수 연구개발정책실장은 “2035 NDC 이행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고 기후테크 분야 기술혁신을 촉진해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수소기술이 2035 NDC 달성과 기후테크 육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