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 부지조성공사 완료, 이르면 2030년부터 입주
국제업무존·업무복합존·업무지원존으로 구성
주택공급 물량 확대 검토, 연말 추가 확보 물량 확정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서울시
10년 넘게 중단됐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다시 속도를 낸다. 서울의 미래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 거점으로 추진 중인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서울코어’가 첫 삽을 뜬다.
16일 서울시는 오는 27일 용산구 한강로3가 40-1 일대에서 기공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서울코어는 서울시의 도시공간 대개조의 핵심 사업이다. 서울역~용산역~한강변 축을 하나로 연결하는 ‘입체복합수직도시’ 비전을 담은 초대형 개발사업으로 추진된다.
사업 대상지는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 45만6099㎡ 규모다. 오는 2028년까지 도로·공원 등 부지조성공사를 완료하고 이르면 2030년부터 기업 및 주민 입주를 시작한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2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 발표 이후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해 왔다.
특히 오는 20일 구역지정·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인가·고시를 완료하는데, 이는 구역 지정 이후 12개월 만에 완료되는 것으로 서울 시내 타 도시개발사업 평균 대비 약 20개월이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은 초기 단계부터 기반시설 설계 검토와 공사계획 수립을 병행하고 공공기관인 코레일·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를 시행자로 둬 공익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도로·공원·문화시설·주차장 등 기반시설을 공공이 조성하고, 이후 민간이 개별 필지를 개발하는 방식이 도입됐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국제업무, 업무복합, 업부지원 등 3개 존(zone)으로 구성된다.
국제업무존에는 글로벌 본사 유치를 위한 초고층 빌딩군이 들어선다. 기존 용도지역 제3종일반주거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해 고밀복합개발을 유도한단 계획이다.
업무복합존에는 오피스·오피스텔·리테일 등이 결합된 복합공간이 조성되고 업무지원존에는 주거·의료·교육시설 등이 조성된다.
시는 업무·주거·여가문화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활동과 이동이 한 건물이나 도보권 내에서 해결 가능한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를 구현한단 구상이다.
특히 도시계획 단계부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바람길과 일조 분석, 빛과 공기가 흐르는 블록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한강변으로 열리는 녹지와 오픈스페이스를 구축해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 용산역을 중심으로 입체 보행 가로망을 구축하고 보행자네트워크를 구축해 보행성과 대중교통 연계성을 강화하며 전체 부지의 41.8%를 도로와 공원 등 기반시설로 계획했다.
시는 용산서울코어가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태명양 본부 유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업과의 협업 라운드를 준비하고 있다. 오는 2030년대 초 글로벌 본사 입주를 목표로 정부, 사업시행자와 함께 기업 투자 유치에 나선다.
주택공급에도 힘쓴다. 시는 이르면 2027년 말 주택분양이 이뤄지도록 토지분양과 건축 인허가 등을 신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주택공급 물량 확대 방안도 검토한다. 기존에 발표한 1만3000가구 공급계획(지구 내 6000가구, 주변 7000가구)에 더해 확대 가능한 물량을 살펴본단 설명이다.
시는 올해 말 기반시설 착공 등 추진공정을 고려해 현재 계획된 개발 계획상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국토교통부, 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확대 물량을 결정하기로 했다.
한편, 향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로 건설기간 중 약 14만6000명의 고용과 32조60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성 이후에는 연간 1만2000명의 고용과 연간 3조300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도 기대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용산서울코어는 서울의 미래 100년을 여는 도심 재창조 프로젝트”라며 “기술·문화·사람 중심의 새로운 도시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을 세계 5대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