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부터 군부대, 정당 등 공공기관을 사칭해 이른바 '노쇼 사기'를 벌인 일당이 경찰에 무더기 검거됐다. 이들은 최근 우리나라 국민들을 납치 및 감금해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를 저질러 논란이 된 캄보디아 사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게티이미지뱅크
3일 강원경찰청은 전국 560건의 사기 사건을 수사해 특정경제범죄법상 사기, 형법상 사기, 범죄단체 가입과 활동 등 혐의로 114명을 붙잡아 이 중 18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강원경찰청은 지난해 말 집중수사관서로 지정돼 노쇼 등 사기 사건에 대해 집중적인 수사를 벌였다. 전국에서 접수된 560건 중 군 사칭 범죄는 402건, 당·대통령 경호처 사칭 범죄는 158건이었다. 총 피해규모는 69억원에 달한다.
지역별로 군 사칭 사건은 경기도가 80건으로 가장 많았다. 정당·대통령 경호처 사칭 사건은 서울이 32건으로 1위다.
이들 범죄 조직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근거지를 두고 범행을 자행해 왔다. 경찰은 국제형사경찰기구(ICPO·인터폴), 국정원 등과 협력해 현지 콜센터를 급습해 피의자를 검거하는데 성공했다.
붙잡힌 이들은 자금세탁책부터, 관리책, 관리총책, 중계기 관리책, 콜센터 조직원, 국내 총책 등 다양한 직책을 가지고 있었다. 피의자 중 약 80%는 20∼30대였으며, 10대도 4명이 잇었다. 피의자 중 여자는 4명 중 1명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명 '사장단'으로 불리는 해외총책이 캄보디아 현지에 콜센터를 두고 국내·외 자금세탁 조직과 중계기 관리 조직을 관리했다. 콜센터는 군·정당이나 판매업체를 사칭하는 조직으로 나뉘어 운영됐는데, 이들은 대부분 텔레그램 등을 통해 자발적으로 범행에 가담한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 자금 세탁조직은 국내 자금 세탁조직과 손을 잡고 피해금 대부분을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로 송금했다. 중계기 관리책은 서울·경기 등지에서 근거지를 옮겨가며 수사기관의 단속을 피해간 것으로 확인됐다.
최현석 강원경찰청장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청년층, 사회초년생 등이 범행에 가담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국내·외에서 업무 난이도에 비해 비정상적인 고수익을 약속하는 제안은 납치·감금 등 피해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사기죄의 공범으로 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고 경고했다. 이어 "공공기관에서는 대리구매를 요청하거나 돈을 선입금하라는 경우는 절대 없으니 숙지하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