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감사 결과만 240억 보고… 금감원선 882억 적발, 축소·삭제 정황 도마 위에
김성태 “검찰 수사 중이라 제출 곤란”… 이인영 “은폐·조작 의혹 커진다” 압박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부당대출 사고’를 언급하며 쇄신을 강조했다. 하지만 882억원 규모 부당대출 사건을 둘러싼 ‘축소 보고’와 ‘자료 제출 거부’ 논란 등을 지적 받았다.
김 행장은 20일 오전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중소기업 자금 공급을 지속 확대해 2025년 상반기 은행권 전체 중기대출 순증액의 83%를 담당하는 등 중기 금융시장의 안전판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금융권의 쟁점인 내부 통제와 건전성 관리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부당 대출 방지 및 내부 통제 강화를 위한 강도 높은 쇄신 계획을 마련하여 성실히 이행 중에 있다”며 “리스크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부실기업 선별역량을 높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금융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7년 6월부터 2024년 7월까지 기업은행 부당대출 사고 총 규모는 882억인데 금융감독원에 신고할 때 240억원으로 보고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질의했다.
기업은행에서는 지난 1월 기업은행 퇴직자가 현직 배우자 및 동료 직원들과 공모해 거액의 대출을 부당하게 받은 사실이 적발됐다. 당초 기업은행의 피해 규모를 240억 원으로 공시됐으나 이후 금융감독원 현장검사 결과 실제 피해액이 88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김 행장은 “1차적으로 서울 지역 감사 결과를 금감원에 보고하는 과정에서 240억원으로 보고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후 인천지역 감사 계획이 있었는데, 금감원에서 직접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이 의원은 “인천지역 감사 계획이 있었다면 240억원으로만 보고해서는 안 됐다”며 “당시 어떤 계산을 통해 240억이 나왔고, 금감원이 추가 조사해 882억원으로 늘어난 경위를 명확히 자료로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이 의원은 기업은행이 국회에 부당대출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점을 강하게 질타했다.
그는 “국회 증언감정법에 의하면 누구든지 이에 ‘따라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며 “형사소송법상 ‘거부할 수 있다’며 제출을 거부하는 것은 법 규정의 우선순위를 뒤 바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김 행장은 “현재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라며 “관련 자료는 검찰에서 조사 중이기 때문에 저희가 임의로 제출하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