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숙 작가와 배우 김우빈, 수지가 뭉쳤지만 시청자들은 ‘다 이루어질지니’의 부족한 짜임새에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나 김우빈은 김 작가, 수지와 재회해 ‘다 이루어질지’만의 의미 있는 시도에 도전할 수 있어 감사했다. 주어진 상황 안에서, 전하고 싶었던 기획의도를 완성한 것만으로도 좋았다며 거듭 ‘행복감’을 강조했다.
김우빈은 천여 년 만에 깨어난 경력 단절 램프의 정령 지니가 감정 결여 인간 가영(수지 분)을 만나 세 가지 소원을 두고 벌이는 넷플릭스 ‘다 이루어질지니’에서 정령 지니 역을 맡아 판타지와 현실을 오갔다.
‘다 이루어질지니’만의 독특한 세계관에 도전하는 것은 즐겁고, 흥미로운 일이었지만 일부 시청자들은 ‘낯설다’고 평가를 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세계관은 신선하지만, 이를 채우는 설정들은 디테일하지 않다며 실망감을 표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김우빈은 ‘다 이루어질지니’만의 도전에 의미를 뒀다.
“다양한 매력이 있는 작품이라 의견도 다양했던 것 같다. 어떤 의견이라도 감사하다. 작품을 봐주셨다는 것이지 않나. 어떤 작품도 호불호는 갈리기 마련이다.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하고, (부정적인) 의견도 감사하게 받고 있다.”
드라마 ‘상속자들’ 이후 김 작가와 오랜만에 재회해 더욱 좋았다. 그의 팬이기도 하다는 김우빈은 김 작가 특유의 유머와 재치 있는 전개에 대해 거듭 만족감을 표했다. 극 중 ‘상속자들’, ‘더 글로리’ 등 김 작가의 전작들을 패러디해 웃음을 주는 등 김우빈 또한 적극적으로 김 작가의 유머를 소화해 웃음을 선사했다.
“‘신사의 품격’ 때 작가님의 글을 보면서 이분이 왜 그 장면을 쓰셨는지 바로 알겠더라. 두뇌 회로가 비슷한 사람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또 내가 연기를 하면 좋아해 주셨다. ‘너는 왜 내가 이 씬을 썼는지 알고 하는 것 같다’는 말씀을 직접 해주셨었다. 이번에도 그런 걸 보면, 잘 맞는 사람인 것 같다. 연기할 때 편하고, 작가님께서도 ‘이 녀석은 이렇게 놀거야’라고 상상하며 써 주신 것 느낌이다. 그렇다 보니 든든하고, 행복했다.”
갈수록 깊어지는 서사가 남기는 여운에도 매료됐다. ‘다 이루어질지니’는 극 초반, 독특한 세계관으로 흥미를 유발하고, 유쾌한 전개로 웃음을 선사하지만 지니와 가영의 천년에 걸친 로맨스가 풀리면서부터는 분위기가 전환된다. ‘전 회차를 다 봐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라며 초반 ‘불호’가 ‘호’로 바뀐 시청자들도 다수였다.
“우리 작품이 여러 질문을 던진다고 생각했다. 작가님은 이 작품을 통해 인간의 선함을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우리 드라마의 사이코패스는 그간 제가 봤던 작품들 속 사이코패스와는 다르지 않나. 나쁜 일을 하지 않는 사이코패스를 과연 나쁘다고 할 수 있을까. 처음 해본 질문이었다.”
그만큼 연기 과정은 어려웠다. 긴 머리를 늘어뜨린 정령을 연기하는 것부터 패러디로 선사하는 웃음, 지니와 가영의 깊은 로맨스까지, ‘다 이루어질지니’의 중심에서 종횡무진 활약한 김우빈은 이 과정 또한 ‘즐거웠다’고 말했다.
“새로운 캐릭터를 만나면 늘 도전이다. 이번엔 많은 모습을 한 번에 보여줘야 했다. 흐름을 만들어가는 게 중요했다. 아랍어도 처음 접했었는데, 평소에 접할 기회가 전혀 없던 언어라 어렵긴 하더라. 그런데 아랍어를 소리로 들으면 되게 노래 같다. 글씨로 보면 그림 같고. 예쁘다는 생각을 했다. 접하기 어려운 언어였는데, 이 작품으로 그런 경험을 해보니 좋더라. 지금은 괜히 친근하다.”
주인공으로 작품을 이끌었지만, ‘더 잘하고 싶다’는 겸손함까지 보여줬다. 이번 작품을 통해 쌓은 ‘다양한’ 경험이 다음 작품에선 또 어떻게 즐겁게 발휘될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모르고 뛰어들었을 때가 있지만 지금은 전체를 보려고 하고, 의미를 찾으려고 하는 것 같다. 연기에 대한 마음은 늘 같다. 좋은 배우가 되고 싶다. 좋은 배우의 기준이라는 건 다양할 수 있다. 선배들께 잘 배우겠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