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전날 교통사고 환자가 평소보다 1.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전 좌석 안전띠 착용과 연령별 카시트 사용을 강조했다.
2일 질병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간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추석 연휴 하루 평균 교통사고 환자는 96.3명으로 평상시 75.9명보다 1.3배 많았다. 특히 추석 하루 전날에는 108.2명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는 오전 7시부터 11시까지 급격히 늘었고 오후 2시와 5시(각 7.6%)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후 오후 6시부터는 평소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성 비율이 줄고 여성은 늘었다. 연령별로는 0~40대가 증가했고 50대 이상은 감소했다.
보호장구 착용 여부에 따라 피해 정도는 크게 달랐다.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입원율이 5.3%, 사망률이 0.4%로, 착용군(입원 3.4%, 사망 0.3%)보다 모두 높았다. 안전띠 역시 미착용자 입원율은 24.5%, 사망률은 2.3%로, 착용군(입원 20.6%, 사망 1.0%)에 비해 위험이 컸다.
좌석별 안전띠 착용률을 보면 운전석(85.1%)과 조수석(91.8%)은 높았지만 뒷좌석은 48.0%에 그쳤다. 뒷좌석에서 안전띠를 착용한 경우 입원율과 사망률은 각각 13.7%, 0.3%였으나 미착용 시 17.0%, 0.9%로 모두 높았다.
질병청은 국민 안전의식 제고를 위해 ‘명절 장거리 운전 시 주의사항 및 올바른 좌석안전띠 착용법’ 리플릿을 제작·배포했다. 주요 수칙은 전 좌석 안전띠 착용, 연령별 카시트 사용, 운행 전 차량 점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등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