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9명은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안전상비약의 품목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약국이 문을 닫은 야간 시간에도 소아용 전용약과 증상별 진통제 등을 편의점에서 편리하게 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는 22일 안전상비약시민네트워크가 실시한 ‘2025 편의점 안전상비약 제도 개선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편의점에서 안전상비약을 판매하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 108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설문 결과 국민 10명 중 8명은 ‘편의점 안전 상비약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편의점 안전상비약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약국이 문 닫은 시간, 긴급 상황에 약이 필요해서’(68.8%)가 가장 많았고, ‘약국보다 가까워서 편리하다’가 39.6%로 뒤를 이었다.
이에 국민 10명 중 9명은 ‘국내 생산 중단된 2개 품목 교체를 포함해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제품군 개선 및 확대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자 절반이 ‘새 효능군 추가’(46.7%)를 요구했고 ‘증상별 세분화’(44.0%)로 맞춤형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우선적으로 추가를 원하는 품목은 소아용 전용약(22.3%), 증상별 진통제(21.0%), 증상별 감기약(20.5%) 순으로 나타났다.
편의점에 진열된 안전상배약 복용 정보를 근거로 스스로 상비약 복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5.5%를 기록했다.
안전상비약시민네트워크 관계자는 “응답자의 80% 이상이 향후 편의점 안전상비약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며 “현행 제도를 유지하거나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전체의 5.2%에 불과했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