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문제 평화·외교적 해결
지지 입장서 다각적 요소 고려"
이란과 협상 등 관계 고려한 듯
북핵 대응 촉구에 지장 우려도
외교부가 이란의 핵 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제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표결에 기권한 배경에 대해 "이란 핵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을 지지한다는 입장 아래 여러 요소를 다각적으로 고려한 차원"이라고 밝혔다.
21일 외교부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는 지난 19일(현지시간) 회의에서 이란에 대한 제재 종료를 유지하는 결의안에 대해 표결했다. 결의안은 러시아·중국·파키스탄·알제리 등 4개국이 찬성했고 프랑스·영국·미국 등 9개국이 반대표를 던져 부결됐다.
한국과 가이아나 등 2개국은 기권했다. 유엔의 대이란 제재는 오는 28일부터 복원된다. 한국이 결의안에 기권표를 던진 건 이란과의 관계를 고려했기 때문이라는 게 외교가의 분석이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표결을 앞둔 지난 19일 세예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교부 장관과 통화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의 창이 여전히 열려 있는 만큼 모든 관련국이 대화와 협상을 통한 외교적 해결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이란에 대한 제재보다는 협상에 방점이 찍힌 것이란 해석이다.
다만 이란의 불법적인 핵 개발을 제재하자는 안보리 표결에 한국이 기권하면서 향후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하는 데 대해 지장이 생길 수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2015년 이란 핵 프로그램 일부를 중단하는 대신 유엔 제재를 일부 완화하는 핵합의 당사국인 영국·프랑스·독일은 지난달 28일 이란의 중대한 합의 불이행을 이유로 제재 자동 복원을 의미하는 '스냅백' 절차를 발동한 바 있다.
이번 표결은 한국이 이란 핵합의 관련 안보리 결의(2231호)에 규정된 제재 복원 절차 조항에 따라 이달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결의안을 제출한 다음 이뤄졌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