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AI 팩토리 기업에 예산·세제·금융 등 패키지 지원”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입력 2025.09.19 12:21  수정 2025.09.19 12:21

AI 팩토리 분야 현장 간담회 개최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 생존 위한 필수전략”

AI 도입률 2030년 40%까지 제고 목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대전시 유성구 카이스트 AI 팩토리 랩을 방문, 간담회 시작에 앞서 카이스트 AI 팩토리 랩 설명을 듣고 있다.ⓒ기획재정부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 AI 팩토리 랩에서 AI 팩토리 분야 대표기업, 전문가 및 관계부처와 함께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구 부총리는 “AI 대전환 15대 선도 프로젝트는 시장을 가장 잘 아는 기업을 중심에 두고, 예산·세제·금융·규제완화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은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이라며 “제조업 전반의 AI 팩토리 구축·확산을 통해 생산성 제고뿐만 아니라 소비자 맞춤형 수요 대응에서부터 탄소 감축 및 작업장 안전 확보까지 우리 제조업을 A부터 Z까지 탈바꿈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우리가 가진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에 AI 기술을 겹합함으로써 세계를 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AI 팩토리로 대표되는 제조공정 혁신이 우리 제조업을 근본적으로 혁신시킬 것이란 데에 공감하면서 우리가 가진 제조역량을 활용, 세계적으로 뚜렷한 강자가 없는 AI 제조 분야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대표기업들은 AI를 활용해 실제 제조공정 혁신을 이뤄낸 생생한 사례를 공유하고, 제조 AI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실증지원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올해 기준 5% 미만인 제조기업 AI 도입률을 오는 2030년 40%까지 제고한다는 목표로 제조업 전반에 걸쳐 AI 팩토리 구축·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는 주력산업 AI 자율제조 전환 전략, ICT 융합 스마트공장 확산 방안, AI 팩토리 특화 AI 혁신거점 조성방안을 보고하며 예산·금융·세제지원, 피지컬 AI 기반 AI 팩토리 기술개발 등 패키지 지원과 함께 법·제도개선 및 규제완화 등을 병행해 제조기반 AI 혁신을 촉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I 팩토리 선도사업 공장을 2030년까지 500개로 확대하고, 시중은행 등과 협력해 AI 팩토리 참여 기업 등에 최대 10조원 규모의 전용 보험상품, 2000억원 규모 대출 등을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구축·확산 지원 예산도 올해 2361억원에 내년 4366억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관련 사업용 유형자산에 대한 가속상각(50% 범위 내)을 2028년 12월까지 신설하는 등 세제지원도 강화한다.


AI 팩토리 특화모델 및 SW플랫폼(400억원), 초정밀 LAM(거대행동모델) 기술(400억원) 등 피지컬 AI 기반 AI 팩토리 핵심기술 개발과 함께 테스트베드 조성, 글로벌 표준선점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이날 간담회에는 청년 주간을 맞이해 KAIST에서 연구에 매진하는 청년 연구자들도 간담회에 참석했다.


청년 연구자들은 “AI로 대표되는 혁신의 물결은 연구현장에서 시작된다”며 “청년 연구자들이 본인의 연구에 AI를 자유롭게 접목하고, 마음놓고 연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정부가 지원을 강화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정부는 AI·AX 대학원을 19개교에서 24개교로 늘리고, 생성형 AI 선도 연구과제를 기존 5개에서 13개로 확대해 고급인재 1만1000명을 양성하는 등 젊은 청년 연구자들의 AI 연구를 적극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다.


정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검토해 향후 정책 수립과 제도개선에 적극 반영하고, AI 대전환 선도프로젝트별 현장 간담회를 지속 추진해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한 분야별 세부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